한국당·바른정당 '국정농단' 책임 부각…국민의당과 '손잡기' 차단
黨 정책공약 수립에 '총력전'…수권정당 면모 강조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원내 1당이자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대선이 51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정권교체론'을 확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끌어낸 촛불민심이 이번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교체의 주역은 바로 민주당이라는 논리를 설파하고 있다.
이는 사실상 정권교체론을 타고 '민주당 대세론'를 굳히려는 포석으로 볼 수 있다. 일반 국민이 거부감을 느끼는 특정후보에 대한 대세론 대신 '정권교체 대세론'을 적극적으로 띄우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현재 민주당은 지지율이 40%대 중반에 달하고 경선후보들의 지지율 합계가 60%에 이를 정도로 다른 정당에 비해 압도적 세우위를 자랑하고 있다.
그런 민주당이 이처럼 정권교체론에 초점을 맞추는 데는 치밀한 전략이 숨어있다. 박 전 대통령 탄핵인용 이후 대선정국의 유동성과 불가측성이 커지는 흐름 속에서 새로운 변수가 들어설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일종의 '프레임 짜기'다.
다시 말해 '정권교체 대 정권연장'이라는 프레임을 보다 강력하게 구축함으로써 현재 민주당이 주도하는 판을 가일층 안정적으로 굳혀나가려는 포석이다.
실제로 민주당으로서는 범보수 진영과 국민의당 일부가 제3지대로의 '합종연횡'을 모색하고 있는 흐름을 가장 신경 쓰고 있다.
현재로서는 대선 전 개헌이 쉽지 않은 게 사실이지만 대선을 앞두고 '개헌 대 반(反) 개헌'이라는 새로운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은 무시못할 변수다. 3당이 스크럼을 짜고 만들어놓은 프레임에 걸려 민주당이 자칫 시대에 역행하는 '호헌세력'으로 지목된다면 판이 불리하게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이 같은 '정치공학적' 시도에 가장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프레임이 '정권교체론' 또는 '정권교체 적임자론(論)'이라고 보고 이를 확대·강화하는데 전략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민주당은 박 전 대통령의 탄핵과정에서 터져 나온 유권자들의 요구는 사회대개혁이며, 이를 위해선 '국정농단'의 책임자들이 아닌 민주당으로 정권교체가 돼야 한다는 점을 적극 주창하고 있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범보수가 정권에 편승했거나 적어도 잘못을 방기했다는 점을 부각하고, 국민의당이 이들과 손을 잡는 것은 민심에 반한 '정치공학'이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런 논리가 유권자의 공감을 얻으면 개헌론을 깃발로 한 정계개편이나 한국당·바른정당·국민의당의 후보연대 흐름을 막을 수 있다고 민주당은 보고 있다.
민주당은 보다 구체적인 전략 수립을 위해 이번 주 중 대선기획단(가칭)을 발족할 계획이다.
이는 선거대책위원회를 발족하기 전의 '임시기구'로, 경선 일정에 따라 4월 초반에 후보가 확정될 때까지 '본선용' 선거전략의 얼개를 짠다.
정책공약의 수립에도 총력을 기울이면서 내실 있는 당의 면모를 강조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상임위 간사단 회의와 의원 워크숍을 잇따라 연 데 이어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독립적인 부패방지기구인 국가청렴위원회의 설치 등 방안을 정책공약으로 검토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19일 통화에서 "구(舊) 여당을 중심으로 나오는 개헌 주장을 국민이 인정할지 의문이고, 후보 간 연대 역시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면서 "다른 당들의 '합종연횡' 시도는 민심에 반한 정치공학이란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 "정권교체 프레임에 힘입어 민주당과 민주당 후보의 대세론을 끝까지 지속시킬 수 있도록 선거를 관리해야 할 것"이라면서 "역동적인 경선, 국민의 개혁요구에 부응하는 내실 있는 정책공약으로 민주당의 '차별성'을 부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당 후보와 민주당 후보와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선 "정치는 생물이니 어떻게 될지 모른다"면서도 "필요한 국면이 오면 논의할 수 있지만 현재 언급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hrseo@yna.co.kr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8//AKR20170318064200001_01_i.jpg)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