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020년까지만 정부 대책"…安 "구조조정 해야 새순 올라와"
李 "불법노동 근절하면 일자리 생겨"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은 19일 KBS가 주최한 민주당 대선주자 합동 토론회에서 '일자리 만들기' 대책을 놓고 저마다 구상해온 해법을 제시했다.
문재인 전 대표는 "일자리 문제는 거의 국가 재난 수준이어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민간에서 일자리를 만들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지만, 단기대책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복지를 늘리겠다는 당 정책 공약대로 보육·공공의료를 확충하면 자연스레 공공부문 일자리가 늘어난다"며 "국가 예산 쓰임새에서 일자리 만들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2020년이 되면 청년 취업층 인구가 격감해 5년 정도 100만명씩 줄어든다"며 "그때는 일자리 늘리기가 아닌 노동력 공급을 걱정할 때이니 그때까지만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안희정 충남지사 역시 "공공서비스, 공공복지, 돌봄서비스 등에서 공공일자리 창출을 효과적으로 하겠다"며 "문 후보의 기조에 공유한다"고 우선 말했다.
안 지사는 "대우조선을 포함해 현재 영업이익으로 운영이 안 되는 많은 산업을 구조조정해야 한다"며 "그래야 새순이 올라와 일자리가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는 "개방형 통상국가를 위해 안보·외교를 튼튼히 하고, 연구·개발(R&D) 강화를 통해 새로운 산업과 투자가 일어나게 하겠다"며 "동일가치 동일노동임금을 통해 장기적으로 우리 일자리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전문 모병 10만, 산업 기간 10만, 소방·경찰 등 10만, 복지·보건 10만을 만드는 게 좋다"며 구체적인 분야별 수치를 제시했다.
이어 "민간에서 52시간 불법 노동하는 것을 줄이면 33만개 새로운 일자리가 나온다"며 "초과근로수당을 안 주고 초과근로를 시키는데 1.5배 철저히 지급하게 하면 일자리가 15∼20만개는 자연스럽게 늘어난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또 "최저임금 1만원, 노동권 강화 등으로 일자리 양과 질을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19//AKR20170319024300001_01_i.jpg)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