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진흥재단 세미나서 지적
"뉴스제작 투명성 강화·언론 신뢰 회복 중요"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가 그 영향력을 키우면서 가짜뉴스를 걸러내기 위한 '팩트체킹'(fact-checking)의 중요성도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소나 언론이 팩트체킹 시스템을 실행하는 데는 현실적 어려움이 따른다.
확인해야 할 뉴스는 쏟아지지만, 기존의 사실 확인 방식으로는 이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다. 또 사실 확인 과정에서 '팩트체커'의 편견도 개입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인간보다 정보 처리 능력이 뛰어난 기술을 통해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일은 가능할까?
한국언론진흥재단 오세욱 선임연구위원은 현 상황에서 기술을 활용해도 100% 완벽한 팩트체킹 시스템을 구현하기는 힘들다고 잘라 말한다.
오 위원은 24일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언론학회, 언론진흥재단 공동 주최로 진행된 '언론보도, 사실확인(Fact Checking)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 발제자로 참석해 현재 팩트체킹 기술로 활용되고 있는 4가지 유형을 소개하고 펙트 체킹 기술이 가진 한계점을 설명했다.
오 위원에 따르면 현재 운영되는 팩트체킹 기술을 ▲지식 기반 방식 ▲맥락적 방식 ▲형식 기반 방식 ▲기계 학습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데이터를 활용해 팩트를 체킹하는 지식 기반 방식의 경우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SNS 등을 활용해 발언의 맥락을 분석하는 맥락적 방식은 활용하는 자료의 출처가 어디냐에 따라 다른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사 형식 요건을 걸려 팩트에 입각한 뉴스인지 찾아내는 형식 기반 방식도 형식을 갖추지 못한 사실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주어진 내용을 문장 단위로 잘라 문장별로 신뢰도를 검증하는 기계 학습 방식 역시 명확한 사실 확인이라고 보기는 아직 힘들다.
그는 "현재 단계에서 팩트체킹 기술은 방대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해 인간의 최종적인 사실 확인을 도와주는 수준"이라며 "기술 자체도 편향된 데이터를 선택해 결론을 유추하거나, 내용과 상관없이 계량화되지 못한 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안으로 전통적 언론의 팩트체킹 역할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서 뉴스룸(언론사 내부의 뉴스제작 과정)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팩트체킹 기술이 팩트를 가려내기 위해 근거 데이터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도 뉴스 기사"라며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한 팩트체킹 서비스가 강조되는 상황에서 결국 가장 중요한 지점은 언론의 신뢰회복"이라고 조언했다.
sujin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