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건어물을 중국에 수출하는 A사는 지난해 11월 수출한 물량이 올해 2월에서야 통관절차를 밟았다.
그동안 중국 세관 당국에서 생산일지 등 불필요한 서류를 요구하며 계속 기다리라고 통보하는 바람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중국 측이 이전과 다른 품목 분류코드를 적용하는 바람에 지난해 수출했던 같은 물품보다 더 많은 관세를 지불해야 할 상황에 부닥쳤다.
생활용품을 만드는 B사는 중국에 마련한 매장을 이달 말까지 철수하라는 통보를 받고 이미 납품한 물량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에 빠졌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수출입업체와 유통업체, 호텔업체 등 부산지역 212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사드 보복 피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12개사가 실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피해 유형은 수출품 통관 지연이나 거부, 비자발급 지연 및 거부, 납품대금 미회수, 중국시장 진출 연기 또는 철수, 판매 부진 등이다.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류 등 중간재를 생산하는 업체는 직접적인 피해를 보지 않았다. 하지만 화장품, 생활용품, 수산물 등 소비재 부문에서는 기업 경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유통업체도 어려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한 면세점은 이런 상황이 지속하면 올해 매출이 작년보다 30∼40%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크루즈 관광객 비중이 낮은 또 다른 면세점 역시 올해 20%의 매출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보호무역 장벽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대체시장 발굴 지원과 경영 안정자금 확대 등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p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