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협의해 위치추정, 선체상황 파악 후 진입계획 마련
접근 가능 구역 파악되면 우선 수색 착수 검토
(진도=연합뉴스) 손상원 장아름 기자 = 세월호가 목포신항 철재부두에 올려지면 미수습자 수색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28//AKR20170328124500054_01_i.jpg)
해양수산부는 육상 거치 후 선체 상황을 파악하고 미수습자 위치를 추정해 선내 진입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세월호 침몰 이후 선내 3층에서 44명, 4층에서 191명, 5층에서 16명이 수습됐으며 43명은 배 밖에서 발견됐다.
층별로는 ▲ 3층 선수 7명, 중앙 25명, 선미 12명 ▲ 4층 선수 111명, 중앙 11명, 선미 70명 ▲ 5층 선수 2명, 중앙 선미 14명이었다. 43명은 배 밖에서 수습됐다.
지금까지 발견 상황으로는 4층에 가장 많았으며 층별로는 3층 중앙, 4층 선수, 5층 중앙 선미 부분이 주목된다.
왼쪽으로 누운 세월호에서 객실이 있는 3∼5층만 분리한 뒤 바로 세워 수색하는 '객실 직립 방식'이 검토되는 배경이기도 하다.
세월호가 전복돼 선미부터 침몰하면서 선미 객실부는 1~2m가량 압축된 상태로 찌그러진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2014년 10월 29일 4층 중앙에서 단원고 학생이 295번째로 발견된 뒤 아직 가족 품으로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는 9명이다.
단원고 학생 4명, 교사 2명, 일반인 승객 3명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28//AKR20170328124500054_02_i.jpg)
해수부는 그동안 조사 내용을 토대로 미수습자들이 있을 만한 장소를 추정하고 있다.
단원고 학생 허다윤, 조은화양은 선미 객실 쪽에 있을 수 있다고 해수부는 짐작했다.
허양은 4층 선미 객실에 있다가 배가 심하게 기울자 친구들과 중앙 쪽으로 대피했고 뒤따라온 친구를 앞에 세워 헬기에 타게 하고 그 뒤로 행방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허양 아버지는 전했다.
해수부는 미수습자 가족들과도 추정 위치를 논의하고 있지만, 수색은 선내 상황이 허락해야만 가능하다.
해수부는 '객실 직립' 방침 결정이나 시도 전에라도 접근할 수 있는 곳이 있으면 우선 수색에 착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철조 세월호인양추진단장은 "(미수습자가) 지금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위치를 가족과 상의해 선정한 다음 선체 절단이나 정리 없이 접근이 가능한 구역이 있으면 위험성을 함께 평가해 그 부분에서 (수색에) 착수할 수도 있다"고 최근 브리핑에서 밝혔다.
이 단장은 "안전한 수색과 수습에 모두 방점을 두고 있다"며 "정밀한 선체조사 후 진입로 확보계획을 잘 만들도록 선체조사위원회와 긴밀하게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작업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내달 5∼6일 세월호를 육상으로 거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같은 달 10일께 미수습자 수색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sangwon700@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7/03/28//GYH20170328001200044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