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바메모리 29일 입찰마감…'50개사 일본연합'도 뛰어들어
(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 일본 도시바(東芝)가 29일 반도체 자회사 '도시바메모리' 지분매각 입찰을 마감하는 가운데 채권은행단들이 "나부터 살고보자"며 담보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도시바에 대한 융자 지속 문제에 대해 거대은행과 지방은행 사이의 공방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담보설정을 놓고 지방은행들은 "거대은행 우대"라며 반발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3/29//AKR20170329055500009_01_i.jpg)
이에 도시바의 3월말 담보 제공은 어려워졌다. 거대은행은 지방은행들이 반발해 협조융자단에서 이탈할 경우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지방은행들을 회유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채권은행단의 공동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도시바 재건의 새로운 변수가 됐다.
실제 지난 15일 도쿄 미나토구 도시바 본사에서 열린 채권은행단 설명회에서도 지방은행들의 강한 불만이 나왔다고 한다.
도시바는 지속적인 융자를 받기 위해 채권은행단에 담보설정을 제안했다. 미쓰이스미토모·미즈호 은행 등 주거래은행의 6천800억엔 융자에는 우량으로 분류된 '도시바메모리' 주식을 담보로 제시했다.
그밖의 지방은행 융자 등 6천180억엔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지는 도시바 그룹 소속 회사 주식이나 사업소의 부동산 등을 담보로 제공하겠고 했다.
이에 지방은행들의 반발은 도시바나 주거래은행들의 상상을 초월했다고 한다. 한 지방은행은 "(융자의) 상환 순위도 주거래은행이 우선되는 것이 아닌가. 불공평하다"며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도시바 측은 도시바메모리 주식의 과반 매각 입찰 수속이 진행 중이라는 점을 들어 "불확실한 요소도 크고 토지 쪽이 (담보)평가하기도 쉽다"고 해명했지만, 주거래은행 우대 의구심은 여전하다.
도시바는 24일까지 은행단의 답변을 받아 월말까지 담보 설정작업을 하려 했지만, 지방은행들의 반발로 연기해 4월 이후 재조정하기로 했다. 협조융자 지속 여부도 결산발표를 하는 4월11일로 미뤘다.
도시바에 대한 지방은행의 불신감은 최근 정점에 달하고 있다. 작년 말 미국 원자력발전사업의 거액손실 문제가 불거졌을 때도 도시바가 주거래은행들에만 미리 설명을 하면서 지방은행들은 소외됐다.
당초 5천억엔 규모로 알려졌던 손실 액수도 미 원자력발전 자회사 웨스팅하우스(WH)의 법적 정리 등에서 총 1조엔(약 10조원) 규모로 불어날 가능성도 있어 채권은행들의 불안은 해소되지 않는다.
니혼게이자이는 "하위권 은행부터 융자를 상환하는 게 당연하다"는 등의 불만이 나온다며 "도시바 재건에는 자금 융통을 지탱할 은행단 결속이 불가결한데 상호불신이 강해진 실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도시바메모리 지분 매각과 관련해 독립계 벤처캐피탈(VC) '일본테크놀로지파트너즈'가 (50여개) 일본 기업연합에 의한 입찰 제안을 도시바 측에 했다고 아사히신문이 이날 전했다.
"일본의 중요한 기술을 외국기업에 넘기고 싶지 않다"는 뜻에 따라 펀드를 만들어 정부계 금융기관이나 도시바 거래처, 다른 투자펀드 등 50여곳과 1조~2조엔을 조성해 인수에 참여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산케이신문은 이날 "관민펀드인 산업혁신기구(INCJ)나 정부계 정책투자은행은 직접적으로 도시바메모리 지분 인수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tae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