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중국에서 유입된 초미세먼지 영향으로 한국과 일본의 조기 사망자가 연간 3만여 명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3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중국의 칭화대와 베이징대, 미국 어바인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진이 2007년 입자 크기 2.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 이동이 세계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다. 비록 10년 전 자료를 이용한 연구지만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잡지에 실렸다는 점에서 중국발 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일깨우기에 충분하다.
연구진은 2007년 한 해 동안 228개국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 농도와 유입경로, 초미세먼지가 발병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진 질환으로 일찍 사망한 사람 수 등의 자료를 이용해 초미세먼지 유입과 조기사망률 상관성을 분석했다고 한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로 인해 조기 사망한 345만 명 중 12%인 41만1천100명이 외국에서 날아온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숨진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중국발 초미세먼지의 영향으로 3만900명이 사망한 것으로 계산됐다고 한다. 연구진은 세계의 많은 기업이 값싼 노동력을 찾아 중국에 공장을 세우는 바람에 중국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인구밀도가 높은 인접국인 한국과 일본이 큰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몰려온 뿌연 먼지가 우리 하늘을 뒤덮는 일은 연례행사가 된 지 오래다. 문제는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이 갈수록 커진다는 점이다. 평상시에는 국내 미세먼지의 30∼50%, 봄철과 같이 심할 때는 60∼80%가 중국에서 유입된다고 본다. 하지만 초미세먼지가 수도권을 덮친 이달 17일부터 닷새간 수도권의 전체 미세먼지 중 중국에서 유입된 비율이 80%를 넘었다고 한다. 특히 가장 높았던 이달 21일에는 86%까지 올라갔다는 것이다. 정부가 지난해 6월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내놓았지만 좀 더 과감한 접근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책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국내 대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잡는 노력이 반드시 동반돼야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런데도 중국을 상대로 한 환경 협력 외교는 지지부진하다. 지난해 4월 양국이 환경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장급 회의를 정기적으로 열기로 합의했지만 같은 해 11월 서울에서 제1차 회의가 열린 게 끝이다. 중국의 비협조적인 태도도 문제라고 한다. 특히 한국의 조기 대선 정국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도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정부가 국민에게 '마스크' 하나로 미세먼지에 대처하라며 손 놓고 있을 순 없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피해를 입증하는 과학적인 자료를 근거로 중국에 좀 더 강력히 환경 협력을 요구해야 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