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대학, 영화 '터미네이터' 액체금속 현실화에 한발짝

입력 2017-04-05 13:10  

中대학, 영화 '터미네이터' 액체금속 현실화에 한발짝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의 한 대학이 영화 '터미네이터'의 액체금속형 로봇 'T-1000'과 유사한 액상금속 개발에 다가섰다고 중국 과기일보가 5일 보도했다.

중국 난징(南京)이공대의 글라이터 나노과학연구소는 중국, 미국, 호주, 일본 과학자 간 협조로 비정합금(非晶合金) 미시구조의 작용 기제를 규명하고 액체금속 물질 개발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됐다고 밝혔다.

금속유리 또는 액상금속으로 불리는 이 비정합금에 대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도 실렸다.

란스(蘭司) 홍콩 중문대 박사가 주도한 연구팀은 비정합금이 유리 전이점에서 고체와 액체 구조의 전환이 이뤄지는 것을 발견한 뒤 이 변환 과정의 미시적 메커니즘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백금족 원소인 팔라듐 금속유리를 원형으로 하는 비정합금의 변환 순서도를 그릴 수 있게 됐고 전통적인 열처리 방법으로 비정합금을 조정 통제할 방법을 확보했다.

변압기 속에서 철기(基) 비정합금에 대한 미시구조 조정을 통해 재료의 연성과 자성 성능을 강화하고 전압 변환 과정에서 에너지 소모도 70%가량 낮출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소개했다.

이번 연구로 비정합금의 응용 범위가 운동기자재, 의료기계, 통신장비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신문은 이 같은 비정합금으로 만든 스마트폰 케이스는 수은 같은 광택에 액상의 유동감을 느낄 수 있고 충격 내구력과 내마모성도 뛰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비정합금 가공을 통해 골프채 재료 성능을 한층 고도화하면 골프 선수의 비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으며 더욱 얇고 예리해진 비정합금 메스로 환자 수술을 더 정교하게 할 수 있고 수술 부위 봉합도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jo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