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연합뉴스) 김동규 김예나 기자 = 해양수산부는 6일 세월호 선체 육상 이송을 위한 테스트와 관련해 "추가 보완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철조 해수부 세월호 현장수습본부장은 이날 목포신항에서 브리핑을 열어 "전부는 아니지만, 세월호 선체가 상당히 부양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음은 이 본부장과의 일문일답.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4/01//PYH2017040135850001300_P2.jpg)
-- 세월호 육상 이송 위한 테스트 결과는.
▲ 세월호 선체가 일부 뜬 것으로 발견됐다. 전부는 아니지만, 상당히 근접한 수준까지 부양에 성공한 것은 확인했다.
-- 정확히 어떤 상황인가.
▲ 선체가 모두 인양된 것은 아니며 1∼5번 리프팅빔 부분과 21∼27번 리프팅빔의 객실 측 부분이 인양이 안 됐다. 추가 보완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 60t짜리 모듈 트랜스포터(Module transporter: MT)도 동원하나.
▲ 40t짜리 MT로만 미세한 위치 조정을 하고 재배치한다. 중대형 MT 테스트는 안 한다.
-- 어떤 점이 어려운가.
▲ 밤이라 어둡고 바람이 많이 불어 정확한 선체와 리프팅빔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날이 밝으면서 다시 상태 조사하고 있다. 윤곽이 나오면 공지하겠다.
-- 세월호 무게 측정됐나.
▲ MT 480축 총 하역 능력의 약 85% 내외 수준이다. 환산하면 1만4천600t 정도 하중이 나왔다. 추가 테스트를 통해 측정해야 하는데 조금 더 상향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전망한다.
-- 40t MT와 60t MT 호환되나.
▲ 호환 운용은 불가능하다.
-- 60t MT로 작업하면 쉽지 않나.
▲ 60t짜리를 넣었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40t짜리 MT를 도입한 것은 장비 조달의 원활성과 안전성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60t짜리 MT는 선체가 감당해야 하는 무게도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 40t MT를 이용하면 이런 무게를 균등하게 나눠주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 리프팅빔 휘어진 곳 있었나.
▲ 있었다. 하지만 지금 단계에서 이 문제를 말하는 것은 시기상 빠르다.
dkkim@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4/06//PYH20170406124200013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