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컷 13마리 순차적 방사…15마리 이상 출산 기대
(세종=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소백산국립공원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여우 서식지로 변모할 전망이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해 2월 말부터 4월 현재까지 소백산 일대에 여우 암컷 13마리를 순차적으로 방사했다고 9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06//AKR20170406157300004_02_i.jpg)
이들 여우는 2014년부터 3년 간 중국·서울대공원에서 들여온 2∼5년생 암컷 10마리와 올해 1∼2월 발신기 교체를 위해 야생에서 회수한 증식 개체 중 짝짓기 과정을 거쳐 임신이 확인된 암컷 3마리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작년 4월 야생에서 태어난 새끼 3마리를 포함한 여우 10마리(암컷 7마리·수컷 3마리)를 올해 1∼2월 발신기 교체를 위해 생포한 바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06//AKR20170406157300004_01_i.jpg)
이에 따라 소백산 일대에는 이번에 방사하는 13마리를 포함해 총 18마리의 여우가 야생에서 서식하게 된다. 새끼 출산에 따라 그 수가 30마리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는 예년과 달리 개체 선별기준(번식쌍→임신개체), 자연적응 훈련 방식(사람 기피훈련→친숙훈련), 방사시기(교미직후→출산 3∼4주전)를 개선해 방사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2012∼2016년 시험방사 결과를 바탕으로 자연 상태에서 출산을 통한 자연적응 유도와 초기 생존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06//AKR20170406157300004_03_i.jpg)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출산·양육과정 중 질병 등에 의한 자연사를 비롯해 불법 엽구·로드킬(Road Kill) 등 인위적 위협요인에 의한 폐사로 개체수가 감소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 짐승 사냥용 도구인 '엽구' 수거 등 서식지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 벌일 계획이다.
로드킬은 주행 중 야생동물의 갑작스런 침입으로 발생하는 차량 사고를 말한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소백산에 방사된 여우 32마리 중 자연 적응과정에서 13마리가 폐사했고, 7마리는 부상으로 회수된 바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0년까지 최소 50여마리 이상의 성숙한 여우가 일정 지역내에 서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올해에는 임신한 개체를 계속 방사해 야생에서 15마리 이상의 여우가 태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복원하기 위해 불법 엽구 수거, 로드킬 예방 등 서식지 안정화에 지역주민이 적극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