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최근 동부산권을 중심으로 급등세를 보이는 부산지역 아파트값을 잡기 위한 정부 대책이 잇달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1순위 청약 조건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는데 부산에서는 해운대·연제구·동래구·남구·수영구 등 5개 지역이 포함됐다.
지난해 부산지역 아파트 가격이 평균 10.51%나 올랐는데 이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4/04/23/01//C0A8CA3D000001458C20C2D100016F55_P2.jpeg)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해운대는 평균 17%가 올랐고 수영구는 16.5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해운대 좌동은 무려 24.8%나 오르기도 했다.
11·3 부동산 대책으로 청약조정 대상에 포함된 해운대 중동에서는 지난달 800여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공급됐는데 경쟁률이 57.94대 1에 달했다.
3.3㎡당 1천700만∼2천만원에 이르는 높은 분양가에도 많은 사람이 몰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최근에는 부산의 청약조정대상 지역이 고분양가 우려 지역으로 추가로 지정됐다.
주택토지보증공사(HUG)는 지난달 31일 고분양 사업장 분양보증 처리기준을 마련하면서 부산 해운대·연제구·동래구·남구·수영구 등 청약조정대상 지역을 포함했다.
높은 가격에 분양하는 사업장의 보증을 거절하거나 제한하겠다는 것이다.
이 지역 분양가 상승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해 실제 입주 때 아파트값이 분양 가격에 미치지 못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당장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으리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런 조치에도 과열 현상이 지속하면 전매제한 등 더욱 강력한 부동산 대책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부산에서는 활발한 재개발·재건축의 영향으로 최대 4만 가구 규모의 아파트 공급이 예정돼 있다.
p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