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완연한 봄을 맞아 꽃놀이, 현장 학습 등 바깥 활동이 부쩍 잦아졌다. 야외에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봄철에는 큰 일교차로 인해 식중독이 발생할 소지도 높아지는 만큼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독성을 지닌 식물을 식용나물로 오인하는데 따른 식중독도 경계해야 한다.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2∼2016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 식중독 환자 수는 6천331명으로, 이 중 31%인 1천981명이 4∼6월에 발생했다.
한여름이 낀 7∼9월(2천336명·37%)에 비하면 적지만, 1∼3월(847명·13%)이나 10∼12월(1천167명·19%)에 비하면 훨씬 많다.
이처럼 봄철 식중독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아침과 저녁 기온이 여전히 쌀쌀해 음식물 취급에 대한 경각심이 떨어지고, 야외활동을 하는 동안 장시간 음식물을 방치하는 등 식품 관리에 소홀해지기 때문이라고 식약처는 분석했다.
또 야산이나 등산로 주변에서 자생하는 독성식물을 식용나물로 잘못 알고 먹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봄철 나들이에서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음식은 1회 식사량만큼 준비하고 재료를 완전히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밥과 반찬은 식힌 후 별도 용기에 따로 담는 게 좋다.
김밥을 준비할 때는 밥과 재료를 충분히 식힌 후에 만들고 가급적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에서 보관하는 게 좋다. 조리된 음식을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햇볕이 닿는 공간이나 자동차 트렁크 등에 보관하는 것도 금물이다.
식사 전에는 손을 깨끗이 씻고, 실온이나 자동차 트렁크에 오래 보관됐던 식품은 과감히 버리는 게 좋다. 마실 물은 집에서 미리 준비하고,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 물이나 샘물 등을 함부로 마시지 말아야 한다.
봄나물을 먹을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 생으로 먹는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등은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씻은 뒤 조리하는 게 좋다.
두릅, 다래순, 고사리 등은 미량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조리하는 게 좋다. 특히 원추리나물은 성장할수록 콜히친이란 독성분이 강해지므로 반드시 어린 순만을 섭취하고,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친 후에 차가운 물에 2시간 이상 담그고 나서 조리해야 한다.
또한, 박새 등과 같은 독초의 어린 순은 봄나물로 오인되기 쉬우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봄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으면 아예 채취하지 않는 게 좋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 사이트(www.mfds. go.kr/fm) 또는 모바일 웹(m.mfds.go.kr/fm) 등의 식중독 예측 지도를 통해 지역별 식중독 주의사항을 확인하고 평소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 식중독 예방 3대 요령을 실천해 달라고 당부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07//AKR20170407138600017_01_i.jpg)
┌─────────────┬───────────────────────┐
│섭취 방법 │ 종 류│
├─────────────┼───────────────────────┤
│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것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취나물, 더덕 등 │
├─────────────┼───────────────────────┤
│ 데쳐서 먹어야 하는 것 │두릅, 냉이, 고사리, 다래순, 원추리순 등 │
└─────────────┴───────────────────────┘
sh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