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선박 신조 프로그램' 첫 사례…"경영 정상화에 도움"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윤보람 기자 = 유동성 위기에 처한 대우조선해양이 현대상선으로부터 최대 10척에 달하는 초대형유조선(VLCC)을 수주하게 됐다.
대우조선은 현대상선과 지난 7일 서울 다동 대우조선 사옥에서 VLCC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통상 선사는 발주 전 단계로 조선소와 투자의향서를 먼저 체결하며, 이후 큰 상황 변화가 있지 않은 이상 대부분 최종 계약으로 이어진다.
이번 건조의향서에는 5척을 우선 발주하고, 최대 5척을 추가로 발주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돼 있다. 본계약은 7월 말까지 체결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아직 협의 중으로,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 기준 VLCC의 척당 시세는 현재 8천만 달러인데 그보다는 높은 가격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10척 모두 본계약으로 이어지면 전체 계약 규모는 9천억원대에 달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09//AKR20170409009451003_01_i.jpg)
현대상선은 VLCC 신조 발주를 위해 지난해 말 전사협의체를 구성하고 선박 신조에 대한 수요 및 선형, 척수, 시장동향, 환경규제, 투자 타당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왔다.
지난달 22일 VLCC 발주를 위한 입찰제안서 공고를 해 대우조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로부터 제안서를 접수했으며 ▲대상 선형 이행 실적 및 프로젝트 이행 능력 ▲ 기술 역량 ▲ 가격 ▲ 운영비용 경쟁요소 등 4가지 기준을 평가해 대우조선과 건조의향서를 체결했다.
현대상선은 향후 대우조선과 LNG 선박 엔진을 비롯한 친환경 기술에 관해서도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현대상선은 2011년 국내 해운사가 운영하는 컨테이너선 중 가장 큰 1만3천100TEU급 대형 컨테이너선 5척을 대우조선에 발주했다.
2013년에도 영국 조디악사(社)가 발주하고 현대상선이 용선한 1만TEU급 컨테이너선 6척도 대우조선과 함께 진행하는 등 신뢰 관계를 이어왔다.
대우조선은 최근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 그리스 마란탱커스와 VLCC 계약을 체결하는 등 오랜 인연이 있는 고객들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연이어 수주를 따내고 있다.
대우조선은 이번 수주도 회사의 경영 정상화와 시장의 신뢰 회복에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은 "국내외 선주들은 대우조선의 기술력과 경쟁력에 여전히 높은 신뢰를 보내고 있다"며 "이런 선주들에게 좋은 품질의 선박을 제공하고 회사를 정상화해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LNG선 2척, VLCC 5척 등 총 7척, 7억7천만 달러 상당의 선박을 수주했다.
건조의향서가 체결된 미국 엑셀러레이트 에너지사의 LNG-FSRU 1척과 현대상선 VLCC 5척을 포함할 경우 총 13척, 14억 달러 이상의 수주 실적이 예상되는 등 올해 들어 신규수주 실적이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은 "이 같은 신규수주 성과가 회사의 위기 극복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선박 발주는 정부가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성한 2조6천억원 규모의 '선박 신조 프로그램'을 활용한 첫 사례다.
현대상선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적인 중소형 컨테이너선 신조 발주도 검토하고 있다.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은 "안정적 수익과 영업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되는 VLCC의 신조선가가 최저점인 올해가 발주 적기라고 판단했다"며 "선박 신조 프로그램을 통해 중장기 선대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