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내년 상반기까지 1천명 감축키로…계약해지 발생하면 인력수요 줄어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박초롱 기자 = 대우조선해양의 채무재조정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단기 법정관리인 P플랜에 들어갈 경우 이 회사의 인력 감축 규모가 기존 발표보다 더 커지고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당국과 채권단,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현재 1만명 수준인 직영 인력을 당초 2018년 상반기까지 1천명 가량 추가 감축해 9천명 선으로 맞출 계획이었다.
이 같은 인적 구조조정 계획은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지난달 대우조선 추가 지원을 발표할 때 공개됐던 내용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105900003_01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105900003_03_i.jpg)
당시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회사의 조기 정상화와 투자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건조 중인 선박의 '적기 인도'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짰기 때문에, P플랜 실행 때도 이 같은 인적 구조조정 계획은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원래 대우조선은 2017년 말까지 8천500명, 2018년 말까지 8천명 수준으로 인력을 줄이기로 했었지만, 선박 건조 일정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올해 말까지 9천명 수준으로만 인원을 줄이기로 계획을 조정했던 것이기 때문이다.
대신 대우조선은 생산직까지 포함한 전 직원의 10% 임금 추가 반납을 통해 인건비를 전년 대비 25% 감축하는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막상 실제로 P플랜에 돌입할 경우 2018년 상반기까지 9천명 이하 수준으로 감원하겠다는 계획이 시기적으로 앞당겨지거나, 감원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는 P플랜 적용 시 건조 중인 선박과 해양설비 계약이 얼마나 취소되는지가 인적 구조조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계약 줄해지'가 현실화되면 선박 건조에 투입되던 인력들이 필요 없어지므로 자연히 인력 감축이 앞당겨질 수밖에 없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1//AKR20170411105900003_02_i.jpg)
금융당국 관계자는 P플랜 시 인력 감축 규모에 대해 "지금 명확히 밝히긴 어렵지만 P플랜 시 당연히 인력 감축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P플랜에 들어가면 법원은 단기간에 회사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하기 때문에 선박 인도 일정에 따라 인력을 가차 없이 쳐낼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관계자는 "자율적인 구조조정 하에 2018년 상반기까지 9천명 규모로 조정한다고 했는데 이보다 조정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며 "고정비 절감 차원에서 더 강력한 인적 구조조정이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도 "P플랜에 들어가 일부 계약이 취소되면 수주잔량이 줄어들 것이고 그러면 인적 구조조정 계획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P플랜 돌입 시 강제 채무조정에 걸리는 시간으로 3개월 정도를 예상하고 있지만, 막상 실제로는 이보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대우조선 계열의 대한조선이 지난 2014년 해외 투자회사의 채무재조정 문제 때문에 법정관리를 신청했을 때도 1년 3개월이 걸려 회생절차가 종료됐다.
법원이 패스트 트랙 제도를 적용했으나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이다.
이밖에 협력업체에 대한 대금 지급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협력사 대금 지급을 위해서는 법원의 승인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협력업체들이 납품을 보류하고, 그로 인해 정상적인 선박 건조가 불가능해지는 등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