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술정보원·국제미래학회 등 주최 '미래교육 혁신정책 세미나'
"대통령 소속 국가교육위원회 신설" 주장도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능시험 폐기와 학제개혁 등 우리나라 교육의 패러다임을 지식전달에서 역량함양 중심으로, 통제적 교육에서 자율적 교육으로 혁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안종배 미래정책연구원장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과 국제미래학회·국회미래정책연구회가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차기 정부 미래교육 혁신 방안 정책 세미나'에서 10가지 혁신과제를 제안했다.
안 원장은 '교육패러다임의 대전환'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10가지 혁신과제로 입시제도·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평가·대학교육 혁신과 학제운영·교육과정운영·진로진학·대학운영·교육거버넌스 혁신을 꼽았다.
그는 수능시험 폐기와 역량평가로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입시제도 혁신과 순위를 매기는 결과 측정 평가에서 개별 학생의 역량·교육과정 평가로 전환하는 교육평가 혁신을 주장했다.
또한 학생 수준에 따라 교육 내용별로 학년제·무학년제를 학교에서 자율 운영하도록 학제를 바꾸고, 인문계·특성화고 간 칸막이를 없애 미래변화와 학생 적성에 맞게 진로·진학 교육을 혁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경범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교수는 '학교 교육제도의 변화' 발표에서 차기 정부가 올해 시작해야 할 미래교육 정책으로, 2021학년도 수능 평가방법을 절대평가로 바꾸고, 수시·정시모집을 통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내년 고교 1학년부터 적용됨에 따라 이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1학년도 수능을 개편하는 연구를 하고 있으며, 7월에 확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학제 개편 방안로는 공교육 진입연령 하향 조정·입직연령 하향 조정·보육-유아교육-초등교육 연계·중고등학교 연계 등을 제언했다.
김 교수는 "차기정부는 미래교육의 올바른 방향성을 잡고 제대로 출발하고, 이끄는 것을 중요히 생각해야 한다"며 "차기 정부는 미래 교육을 시작하지만 완성하지는 못한다. 완성하려고 하면 계속 겉도는 정책만 만들어진다"고 역설했다.
또 "다음 정부는 미래교육 출발점으로 일관화된 교육 정책 세트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번 수능을 또다시 상대평가로 하게 되면 새로운 교육으로 가는 길은 다 막히고 교육 현실은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경화 숭실대 교육학과 교수가 '미래 교육은 어떤 인재를 양성해야 하나', 조동성 인천대 총장이 '대학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민경찬 연세대 명예교수가 '미래 교육 정책 거버넌스는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를 주제로 발표했다.
민 교수는 "교육 거버넌스 재건축을 위해서는 싱크탱크 개념의 대통령 소속 준헌법기관인 국가교육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위원 임기는 10년으로 하고 국가 차원의 교육 방향을 기획·조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 기획은 국가교육위가 하되 교육부는 국가단위 정책에 대한 현장 중심의 실천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교육청은 지역 단위 정책을 실천하고, 단위 교육기관은 자체 특성을 키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남식 국제미래학회장과 김재춘 한국교육개발원장, 이용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 한석수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가 차기정부 교육혁신 방안과 정책을 제언하는 토론을 벌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이날 발표된 내용을 묶어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라는 서적으로도 출간, 차기 정부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s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