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적자는 면했지만, 판매량은 전성기의 3분의 1로 급추락
(서울=연합뉴스) 이춘규 기자 = 일본 미쓰비시자동차가 연비를 조작했다가 발각된 지 1년을 맞지만 아직도 잃어버린 시장의 신뢰와 실적을 회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18일 전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8//AKR20170418085400009_01_i.jpg)
연비조작 사태 이후에 미쓰비시차는 닛산자동차 산하로 들어가 과거 V자 회복에 성공한 닛산식 개혁을 서두르고 있지만, 판매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다.
미쓰비시차는 작년 4월 20일 닛산에 제공하는 모델을 포함해 경자동차 4개 차종의 연비를 부풀리기 위해 데이터를 조작한 것이 발각됐다.
1991년부터 법령을 따르지 않는 측정법을 사용, 2006년 이후 판매한 모든 차종에서 조작 사실이 속속 들통났다. 1990년대 확대경영노선의 실패나 2000년대 리콜은폐로 조직이 피폐화된 영향이다.
인재가 빠져나가면서 개발현장의 경쟁력은 약해졌지만, 직원들에게 과도한 목표치가 주어지면서 데이터를 조작해서라도 연비 등의 목표 수치를 맞추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조작 발각 직후 최대 경영위기를 맞은 미쓰비시차는 작년 5월 닛산과 자본업무 제휴에 기본합의했다. 다음달인 6월부터 닛산 출신 야마시타 미쓰히코 부사장이 취임하고 '닛산화'가 시작되었다.
개발현장 개혁도 진행했다. 올 4월 1일까지 모두 31개 항목의 부정 방지책을 마련해 실시하고 있다. 부정을 일으킨 부서는 야마시타 부사장 직할 체제를 구축해 관리했다.
기술직은 물론 관리직까지도 매년 20% 정도 반드시 이동시켜 물이 고이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려고 애썼다. 야마시타 부사장은 "개혁은 규칙 준수, 구체화가 키포인트다"라고 말했다.
부정의 무대가 된 개발부문 뿐만 아니라, 경리·재무 부문 등도 포함해 데이터를 중시하는 개혁을 철저하게 단행하고 있다. 미쓰비시 회장도 맡은 카를로스 곤이 과거에 닛산을 재건할 때 사용한 수법대로다.
미쓰비시차는 이후 세계 시장에서의 판매 상황 등 월 단위의 데이터를 경영진이 신속하게 파악하고, 검증하는 체제도 만들었다. 이 결과 3월 끝난 2016회계연도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8//AKR20170418085400009_02_i.jpg)
그러나 미쓰비시차의 최근 수년간 일본내 판매는 8만여대로, 10년 전보다 3분의 1로 줄어들어버린 상태여서 재건하는 앞길은 여전히 험한 상태라고 아사히신문은 지적했다.
열쇠는 인재 활용이다. 리콜을 은폐한 뒤 단행한 개혁으로 재무 기반이 안정된 후에도 미쓰비시차는 인력이 모자라는 상태가 계속됐지만 인재에 대한 투자는 진전되지 않았다.
금년도부터는 닛산으로부터 영입한 간부 외에도 경력직 인재, 젊은 층과 여성, 외국인을 적극 등용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지금과는 전혀 다른 미쓰비시차를 만들겠다는 의지이다.
미쓰비시차 연비 조작이 확산된 배경에는 일본정부의 제도 미비도 있었다. 연비 산출에 사용하는 주행데이터를 업체가 보고하는 수치대로 받아들였고, 허위 신고에 대한 벌칙도 없었다.
관할 국토교통성은 이러한 지적에 따라 제도의 재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업체의 신고가 정확한지 조사하기 위해 올봄부터 공장에 대한 예고없는 불시 검사도 시행한다.
측정기준도 보다 엄격한 국제기준으로 바꾸었다. 허위신고에 대한 벌칙으로 차의 생산·판매에 필요한 형식지정 취소와 최대 2억엔(약 20억8천만원)의 벌금을 물리는 법개정안도 국회에 제출했다.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실제 연비는 표시한 수치보다 나빠진다는 문제가 지적됐다. 연비 효율이 나빠지는 시가지 등에서 저속 주행이 많아지는 등의 영향 때문이다.
이에 국토교통성은 시가지, 고속도로 등 상황별 연비를 나타내는 국제기준을 도입, 올 여름 이후 신형차부터 적용하게 하고, 내년 10월부터는 의무화할 방침이다.
한편 미쓰비시차는 연비조작 차량을 구매한 소비자에 대한 배상을 현재 86% 진행했다고 밝혔다.
tae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