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양=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중국 동북지방에 들어설 백두산호랑이 국가공원 건설계획에 대한 중앙정부 승인이 나왔다고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밝혔다.
19일 국가발전개혁위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린(吉林)성과 헤이룽장(黑龍江)성이 공동 수립한 '동북호랑이(백두산호랑이의 중국식 명칭) 국가공원 체제 시행방안'에 대해 중앙정부가 비준을 완료하고 두 성성 정부에 시달했다.
이에 따라 지린·헤이룽장성 정부는 삼림총국 및 임업청, 성 발전개혁위 등 10여 개 부서이 참여하는 호랑이 국가공원 건설사업 영도소조, 건설본부를 구성해 사업에 착수키로 했다.
백두산호랑이 국가공원은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칭(汪淸)·훈춘(琿春)과 헤이룽장성 닝안(寧安)·둥닝(東寧)을 아우르는 라오예링(老爺嶺) 남부지역에 총 1만5천㎢ 면적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이는 서울 면적(605.21㎢)의 24.8배에 해당한다.
이 중 지린성이 차지하는 면적이 1만700여 ㎢(71.3%), 헤이룽장성 면적이 4천300여 ㎢(28.7%)이다.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은 호랑이공원 조성면적 내 경지, 인삼밭, 목장, 저수지, 광산, 도로와 철도 등을 단계별로 이전하고 주민 보호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헤이룽장성은 야외 데이터 검측 등 우선적인 사업추진에 필요한 6천만 위안(약 99억3천500만원)을 중앙정부에 지원 신청키로 했고, 지린성도 사업비 지원을 신청할 예정이다.
국가발전개혁위는 "지금까지 흩어진 동북호랑이 서식지 관리를 맡은 행정단위가 별개인 탓에 통일된 보호·관리가 힘들었고 호랑이, 표범의 서식공간이 축소되고 분할됐다"며 "국가공원 건설 및 조성사업을 통해 이들의 생태환경을 보호하며 개발제한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멸종위기종인 백두산호랑이 보호를 위해 2013년 이후 지린·헤이룽장성 내 서식지 일대 벌채를 금지하고 보호활동을 펼친 결과, 현재 지린성 연변자치주 자연보호구에 호랑이 27마리가 서식하고 헤이룽장성 라오예링보호구에 8~1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4/19//AKR20170419087900097_02_i.jpg)
reali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