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이매진] 공룡이 노닐던 백악기 지상낙원

입력 2017-05-13 08:01  

[연합이매진] 공룡이 노닐던 백악기 지상낙원




(해남=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인류가 나타나기 전 지구의 제왕은 공룡이었다. 공룡은 육중한 걸음으로 지축을 흔들고 거대한 날개로 하늘을 뒤덮었다. 그리고 어느 순간 지구 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전남 해남 우항리에서는 무려 1억6천만 년 동안 하늘과 땅과 바다를 지배한 거대 파충류들을 만날 수 있다.

8천500만~8천3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말. 땅끝마을이 가까운 해남 우항리는 거대한 호수를 낀 육지였다. 기후가 덥고 습했던 당시 호수 둘레에서는 거대한 공룡들이 발걸음을 옮기거나 뛰었고, 하늘에서는 익룡이 커다란 날개를 퍼덕였다. 우항리는 트라이아스기(약 2억5천만~2억 년 전)에 출현해 쥐라기(2억~1억4천만 년 전)를 거치며 지구를 지배한 공룡이 백악기(1억4천만~6천500만 년 전)에 지구에서 종적을 감추기 전 마지막 안식처였는지도 모른다.

공룡이 노닐던 백악기의 흔적은 가을이면 갈대가 흐드러진 금호호(湖) 남쪽 호안을 따라 펼쳐진다. 검은색과 흰색 책을 차곡차곡 쌓은 듯한 층암절벽 아래 돌출한 비스듬한 바위에 공룡과 익룡, 새의 발자국이 남겨져 있다. 주요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바위는 튼튼한 건물을 지어 보호하고 있다.





◇ 백악기 퇴적층에 찍힌 공룡 발자국


'조각류 공룡관'은 초식공룡 발자국 263개가 있는 곳이다. 경사진 퇴적층에 코끼리가 지난 듯한 둥글둥글한 발자국이 흐릿하게 찍혀 있다. 발자국의 주인공은 '오리주둥이 공룡'이라 불리는 하드로사우루스류. 이 공룡은 몸길이 25m, 무게 30t으로 네 다리를 이용해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검게 그을린 채 바위 속에 박힌 탄화목, 익룡 발자국과 물갈퀴새 발자국도 볼 수 있다. 발자국 화석의 간격을 보면 당시 우항리의 조각류 공룡은 시속 6.6㎞로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익룡·조류관의 주인은 익룡. 이들은 도요새처럼 길쭉한 부리와 악어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날개에는 4개의 발가락이 있는데 유독 하나가 길게 발달해 날개를 지지하고 있다. 우항리에서는 사람의 귓바퀴처럼 생긴 앞발 발자국과 사람의 발자국 같은 뒷발 발자국이 모두 발견돼 익룡이 네 발로 엉거주춤하게 걸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곳에 찍힌 익룡의 보행렬 길이는 7.3m로 세계에서 가장 길다. 익룡은 날개를 펼쳤을 때 길이가 참새만 한 것부터 12m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이곳 익룡 발자국의 평균 길이는 앞발이 22㎝, 뒷발이 21㎝로 우항리에는 7~12m의 날개를 가진 대형 익룡이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 있는 익룡 발자국은 443개나 된다.

대형 초식공룡관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초대형 공룡 발자국을 볼 수 있는 곳이다. 바위 표면에는 평균 길이 80㎝, 최대 깊이 28㎝의 대형 발자국이 남아 있다. 발자국은 특이하게 별 모양이다. 발자국이 찍힐 때 물기를 머금은 진흙 밑부분이 공룡 발가락 사이를 비집고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별 모양 발자국은 우항리에서만 발견된다. 지층에는 4개 이상의 보행렬이 있어 여러 마리가 함께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발자국은 누구의 것일까. 목이 긴 거대 공룡인 용각류인지, 3개의 발가락 자국을 남기는 조각류인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주변 지층에서도 다양한 화석을 볼 수 있다. 오리처럼 물갈퀴가 있는 새 발자국과 절지동물이 기어간 모습도 볼 수 있다. 특히 길이가 35㎝인 사람 귓바퀴 모양의 거대 익룡 발자국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 무시무시한 티라노사우루스



호수 둘레에서 발자국 화석을 충분히 관찰했다면 박물관을 돌아볼 차례다. 우항리에 있는 다양한 발자국 화석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은 물론 살아 움직이는 듯한 공룡 모형과 함께 공룡의 세계에 푹 빠질 수 있다.

우선 우항리실에서는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를 대표하는 화석을 보며 지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우항리 공룡 화석을 좀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는데 다양한 공룡의 다리뼈가 전시돼 있고 익룡의 걸음걸이를 엿볼 수 있는 모형도 설치돼 있다. 공룡과학실에서는 지구 역사의 시기별 동식물이 소개되고 본격적인 공룡 탐구가 시작된다. 공룡의 골격과 감각기관, 지능을 확인하고 암수 구분법도 알 수 있다. 공룡의 피부 화석도 흥미롭다.

공룡실은 전 세계에서 발견된 공룡의 골격 모형이 있는 공간이다. 쥐라기의 강력한 포식자 알로사우루스를 비롯해 등줄기를 따라난 삼각형 골판이 이채로운 스테고사우루스, 두꺼운 갑옷을 입은 듯한 유오플로케팔루스, 박치기 공룡인 스테고케라스, 폭군 도마뱀인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위협적인 뿔이 세 개 있는 트리케라톱스 등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 전시된 공룡의 골격을 볼 수 있다.

중생대재현실은 박물관의 하이라이트 공간. 무시무시한 티라노사우루스는 밀림 속에서 괴성을 지르며 초식공룡 에드몬토사우루스를 쓰러뜨려 물어뜯는다. '날카로운 발톱'을 뜻하는 데이노니쿠스는 길이 13㎝의 날카로운 발톱을 세우고 방문객을 노려보고, '말라위의 도마뱀'이라 불리는 말라위사우루스는 8m의 이상의 기다란 몸길이를 뽐내며 초원을 걷고 있다.

해양파충류실에서는 어룡과 수장룡, 초기 바다 파충류인 노토사우루스, 바다악어 등을 볼 수 있다. 익룡실에서는 중생대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다양한 익룡을 만날 수 있다. 거대공룡실에 있는 백악기 초기의 초식공룡인 조바리아 두 마리의 골격도 흥미롭다. 이들의 몸길이는 20m를 넘는다.

박물관 야외에는 조바리아, 유타랩터, 프로토케라톱스, 벨로시랩터, 스테고사우루스 등의 모형도 곳곳에 비치돼 천천히 산책하며 돌아보기 좋다.





※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5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dkl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