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만의 리그' 정경유착 되풀이…'위선적 행태' 비판도 나와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버락 오바마 전(前) 미국 대통령이 월스트리트의 금융업체로부터 한 차례 연설 사례금으로 4억5천만 원을 받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 등 고위 정치인과 전직 관료들이 거액의 연설 사례금 등을 받는 관행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는 논란은 이전에도 있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의 경우 월스트리트의 탐욕을 강력히 비판해 왔으며,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거액 연설 사례금 수수를 신랄하게 꼬집은 바 있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미국 폭스비즈니스 방송은 25일(현지시간) 오바마 전 대통령이 오는 9월 금융투자업체 캔터 피츠제럴드가 개최하는 연례 보건분야 투자자 오찬 회의에서 한 번 기조연설을 하는 대가로 40만 달러(약 4억5천만 원)를 받기로 계약했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 이후 오바마 전 대통령이나 업체 측에서 이를 부인하지 않는 가운데 각 언론매체는 오바마의 과거 관련 행적과 퇴임 이후 벌 거액 수입을 조명하고 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재직 시절 월스트리트와 자주 긴장관계에 있었다. 특히 2009년엔 금융위기로 미국과 세계가 어려움을 겪는데도 금융사 대주주와 경영진은 거액의 연봉과 보너스를 챙기고 세제 혜택까지 누린다며 '무책임한 살찐 고양이들'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또 작년 백악관 출입기자 만찬에선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 퇴임 직후 투자회사 골드만삭스로부터 거액의 연설료를 받은 것을 비판하면서 "나도 (퇴임 후인) 내년에 난 골드만삭스를 이용할 것"이라고 비꼬았다.
당시 클린턴은 3회 연설에 총 67만5천 달러(7억6천만 원)를 받았다. 1회 연설료는 22만5천 달러로 오바마가 캔터 피츠제럴드로부터 한 번 연설로 받는 돈의 절반 정도다.
거액 연설 사례금을 비롯한 클린턴 부부의 퇴임 후 재산형성 과정은 미국 대선 민주당 내부 경선과 도널드 트럼프 후보와의 본선에서도 '서민 대통령'을 자처한 힐러리 측의 구호가 허구임을 공격하는 좋은 소재로 사용됐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7/04/25//PEP20170425017801034_P2.jpg)
시민단체 '변화를 위한 뉴욕 공동체'의 조너선 웨스틴 사무총장은 월스트리트 대형금융사들과 친하게 놀며 호의를 베풀어 민주당의 기반을 어지럽히고 난처하게 만드는 똑같은 일을 오바마도 되풀이하는 것에 실망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에 말햇다.
민주당 정치 컨설턴트 행크 셰인코프는 일간지 뉴욕포스트 인터뷰에서 모든 전직 대통령이 그런 행태를 보였기에 오바마도 그러리라고 예상했어야 한다고 말할 수는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끊임없이 소득 격차에 관해 얘기하고 월스트리트를 비판했던 오바마가 이제는 자신이 살찔 고양이라고 비판했던 사람들로부터 급식을 받고 있다는 점은 역설적이며, 역설적이기보다는 위선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 부부는 지난 2월 미국 출판사 펭귄 랜덤 하우스와 자서전 2권 출판 계약을 맺었으며 판권료는 총 6천500만 달러(734억 원)로 역대 미국 대통령 중 가장 많은 금액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는 보도했다.
또 오바마 행정부에서 8년간 백악관 선임 고문을 지낸 밸러리 재럿은 최근 시카고의 한 재정난을 겪는 공립대학과 졸업식 축사를 하는 대가로 3만 달러(약 3천500만 원)와 명예 학위를 받기로 계약했다가 논란이 일자 사례비를 받지 않겠다고 철회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1/10/13//PEP20111013032101034_P2.jpg)
choib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