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金 손잡고 '비문·비패권세력 규합' 승부수…막판 변수될까

입력 2017-04-30 15:29  

安, 金 손잡고 '비문·비패권세력 규합' 승부수…막판 변수될까

'친박·친문' 빼고 모여 개혁과제 완수 목표…소수정당 한계극복 포석도

비문 후보 단일화 가능성 열어둬…홍준표도 배제하지 않아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 측에 합류한 김종인 공동정부준비위원회 위원장이 30일 제시한 '개혁 공동정부' 구상이 9일 남은 '장미대선' 판도에 새로운 변수로 등장할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대하빌딩 사무실에서 안 후보가 제의한 공동정부준비위원장직을 수락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반패권세력을 포괄한 개혁 공동정부 구성을 통해 개혁과제를 완수하고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 위원장의 이날 기자회견은 '안철수 후보 공동정부준비위원장' 자격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안 후보와 교감을 거쳐 나온 것이며, 안 후보의 의중이 반영됐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김 위원장의 개혁 공동정부 구상은 집권 후 강경한 친박(친박근혜)과 친문(친문재인) 진영을 제외한 제 정당이 '당 대 당' 협치의 틀을 만들어 개헌을 비롯한 정치·경제·사회 개혁조치들을 신속하게 완수하자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는 "180석이 안 되면 내년 지방선거를 할 때 야당은 극한투쟁을 할 수밖에 없고 또 총선이 다가오면 여당을 골탕먹이려고 계속 투쟁할 것 아니냐"며 "과거처럼 상대를 적폐와 적으로 돌려 싸움만 할 게 아니라 공동정부 형태를 갖고 합의하고 협치하려고 노력해야만 우리가 안고 있는 모든 분야의 혁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개혁 공동정부 구상은 또 안 후보가 몸담은 국민의당이 소수 정당이라는 현실적인 한계를 지적받는 국면을 돌파하고 안정적으로 국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수권 비전을 제시하는 전략적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안 후보가) 당선이 됐을 적에 일단 정부를 정상 출범시키려면 국민의당이 40석 의석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공동정부의 성격을 갖지 않고는 설립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의 측근인 최명길 의원은 "민주당 통합정부추진위원회는 당내기구이고 새 정부가 집권할 경우 신속하게 출범시키려 준비하는 인수위 같은 것"이라며 "오늘 출범하는 기구는 고도의 정무적 협의 기구라고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의 이날 기자회견은 일단 개혁 공동정부 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대선 전 비문 후보 단일화에 대해 문을 열어 놓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반패권을 핵심 가치로 내걸었음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전 대통령이 몸담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 대해 개혁 공동정부 구성 및 단일화 대상에서 꼭 배제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 역시 관심을 끈다.

최 의원은 홍 후보에 대해 "그분이 적폐 세력, 친박 패권세력은 아니지 않으냐"라며 "오히려 자기는 늘 지난 10년간 친박 때문에 핍박받았다고 주장하고 객관적으로 그리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람을 배제한다고 얘기할 이유는 전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홍 후보를 직접 만났으며, 바른정당 인사들과도 물밑에서 접촉하는 등 공동정부론 공감대 확산과 단일화 논의의 불씨를 이어 가기 위한 행보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안 후보는 이미 후보 단일화에 대해 분명히 선을 그은데다 홍 후보에 대해선 연일 사퇴 공세를 펼치는 상황이다. 홍 후보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역시 단일화에 부정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피력해 왔다.

이런 흐름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이 후보단일화 성사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 이보다 한 차원 낮은 연대인 공동정부론을 꺼내들고 강성 친박과 친문을 제외한 정치권 인사의 규합을 통해 안 후보를 돕겠다는 복안을 밝힌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 위원장도 "단일화는 각 후보자에 의해 결정될 사안이라 공동정부 추진 담당자로서 무엇이라고 말할 수 없다"며 후보보다 앞서가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김 위원장이 파트너로 점찍은 홍 후보와 유 후보는 후보 단일화에 이어 공동정부 구상에 대해서도 시큰둥한 반응을 보여 실현 가능성은 두고봐야 한다는 관측이다.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