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바른정당 통합론 수면 위로…지방선거 앞두고 원심력 강화 전망
선거패배 지도부 책임론도 변수…'비대위 체제' 부정적 인식도 만만찮아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박수윤 기자 = 국민의당이 19대 대선 패배 이후 몰아닥친 거센 후폭풍 속에서 당의 진로를 어느 방향으로 잡고 나갈지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당은 야심 차게 임했던 이번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더블스코어' 차이로 참패하면서 분위기가 가라앉을 대로 가라앉은 상황이다.
특히 당의 지역적 근간인 호남에서도 대패를 면치 못했다는 점을 뼈아프게 받아들이고 있다.
창당 후 위기 때마다 수시로 불거지던 '연대론'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조짐이다.
대선 패인 중의 하나로 '40석 미니정당'의 한계가 지적되는 데다 앞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국회 캐스팅 보트로서의 존재감을 살려 나가려면 지금보다는 몸집을 불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우선 바른정당과의 통합론이 심상치 않다. 이번 대선 과정에서도 국민의당은 바른정당에 음으로 양으로 '러브콜'을 보냈으나 결국 성사되진 않았다.
호남 지역의 한 중진의원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적극적으로 견제와 균형 역할을 하려면 우리 당만으로는 어렵고 어느 정도 몸집이 필요하다"며 "바른정당과 우리 당의 노선과 가치, 공약이 가장 비슷해 충분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니 통합을 빨리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구여권 출신 범보수 정당과의 통합을 호남 민심이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냐가 변수로 지목된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5/09//PYH2017050925160001300_P2.jpg)
민주당과의 통합론도 심심찮게 불거지고 있다. 일부 의원들이 이미 접촉을 하고 있다는 설도 흘러나온다.
특히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 내부에서 '원심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이 주요 변수다.
민주당 측은 이미 통합의 손짓을 하고 있다. 박영선 의원은 오전 라디오에 나와 "국민의당과는 형제당"이라며 "국민의당은 대통령 입장에서는 ''내 당이다'라는 심정으로 임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한 초선 의원은 통화에서 "바른정당 복당파들이 여론의 역풍을 맞지 않았느냐"라며 "우리도 민주당에서 싸우고 나온 당인데 당분간 쉽사리 움직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금까지는 당내에서 '연대론'이 불거질 때마다 안철수 전 대표가 '자강론'을 외치며 이를 잠재웠지만, 안 전 대표가 대선 패배 후 당분간 당과 거리를 둘 것으로 보이고 독자노선으로 당을 끌고 갈 다른 구심점이 딱히 없다는 점에서 당분간 연대론 내지 통합론이 가라앉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선 패배의 책임이 지도부로 향할지도 주목된다. 당 비주류 일각에서는 박지원 대표 등 지도부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연초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지도부를 끌어내고 비상대책위 체제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 데다 '대안 부재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국민의당은 이날 오후 3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을 가진다. 이 자리에서 당의 진로와 지도부 책임론 등에 대한 얘기가 나올 전망이어서 논의 결과가 주목된다.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