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대표단 美 탈퇴 우려…NYT "협정에 머무르는 게 비용 덜 들어"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af/2017/05/10//PAF20170510055601034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미국 트럼프 정부 때문에 국제 기후변화 협약인 파리협정 이행 실무협의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고 9일(현지시간) AFP통신이 보도했다.
8∼1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196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대표단이 참석해 파리협정 이행에 필요한 의견과 입장을 개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협정 이행이 불투명해지면서 각국 실무진이 난색을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기후변화는 중국이 지어낸 거짓'이라고 주장하며 당선되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미국은 지난달 로마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에너지장관 회의에서 공동 성명 채택에 반대해 무산시켰으며, 지난 3월 연방정부의 주요 탄소 배출 규제를 해체하는 '에너지 독립' 행정명령에 서명해 파리협정을 이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을 불러왔다.
이에 파리협정 실무협의 각국 대표단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파리협정 이행 여부를 결정하는 회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지만, 트럼프 정부 관계자는 회의 자체가 연기됐다고 전했다.
각국 대표단은 파리협정의 합의 사항을 재협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미국에서는 전임 오바마 정부에서 파리협정 교섭을 맡았던 트리그 탈리가 이번 실무협의에 참석했지만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이번 실무협의에서 미국의 향후 정책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하거나 미국의 경제 성장과 번영이라는 광범위한 목표를 방해하는 결정이 이뤄지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2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의 약 15%를 차지해 중국(약 25%)의 뒤를 잇고 있다.
따라서 미국이 파리협정을 탈퇴할 경우 그 위상이 흔들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파리협약은 2005년 발효된 교토의정서와 달리 유엔이 지시한 배출량 감소치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각국이 국내 상황에 맞게 계획을 제시한다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유연한 구조 때문에 이방카 트럼프와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등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파리협정을 탈퇴하지 않도록 촉구하고 있다면서, 협정에 남아 있는 것이 외교적 측면 등에서 비용이 더 적게 들 것이라고 조언했다.
gogog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