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 안전대책 발표…물막이판·수중펌프 등 5천200가구에 설치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시가 호우에 대비해 3시간 뒤의 침수 발생을 예측해 자치구별로 알려주는 비상 발령 시스템을 도입한다.
서울시는 10일 오후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7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그동안 비가 많이 내려 침수가 우려될 때 이뤄지는 비상 발령은 일률적으로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했다. 그러나 서울 시내별로 강수량 차이가 크다 보니 탄력적인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곤 했다.
시는 "호우 영향예보에 따라 침수 유형을 분석, 강우 시 3시간 뒤의 침수 발생을 사전 예측해 자치구별로 예비비상과 긴급비상을 발령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돌발 강우나 국지성 집중호우를 관측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저고도 소형레이더망을 활용한다.
이에 따라 자치구별로 집중호우를 관측하면 침수가 일어나기 30∼70분 전에 미리 상황을 내다보고 대응이 이뤄질 수 있다고 시는 덧붙였다.
시는 반지하 주택 등 취약주택의 침수를 막아주는 물막이판, 역류방지시설, 수중펌프 등 침수방지시설을 올해 5천200가구에 설치한다.
침수방지시설은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설치하기 시작해 현재 약 6만 가구에 설치돼 있다.
시는 2011년과 2012년 집중호우가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도, 침수 가구 수는 2만 485가구에서 736가구로 대폭 줄어 침수방지시설의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침수 피해가 일어났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시내 소방서에 양수기 400대를 지원한다.
침수 취약가구를 전담 관리하는 '돌봄공무원' 4천722명을 올해 6천492가구에 배치한다.
인명 피해를 막고자 자동경보시설, 문자 전광판, CCTV, 경광등, 비상 사다리 등 하천 위기 상황 관리 시설도 올해 21곳에 추가 설치된다.
특히 '주의→대피→주의보→경보→범람' 등 5단계로 이뤄지던 기존 안내방송 시스템에 '사전안내' 단계를 추가해 시민이 한발 앞서 안전하게 몸을 피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도림천, 신천, 대치역사거리, 잠원 등 침수취약지역 6곳을 대상으로 펌프장·저류조·하수관로 신설·개량을 마쳤다. 2019년 우기 전까지 남은 침수취약지역 13곳도 사업을 마쳐 시간당 95㎜의 비가 내려도 홍수를 방어하는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시는 하천 제방·한강 갑문·빗물 펌프장·수문 등 577개 시설과 27개 공사현장 안전점검을 벌인 데 이어, 풍수해 종합훈련·SNS 모의훈련 등 각종 훈련을 할 예정이다.
시는 호우로 인한 산사태를 막고자 산사태 현장 예방단을 꾸려 취약 지역을 들여다본다. 또 취약지역 190곳을 대상으로 다음 달까지 산사태 예방사업을 마칠 계획이다.
시는 15일 오후 4시 서울시청 통합안전상황실에서 여름철 태풍과 호우에 대비하는 '서울특별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열고, 10월15일까지 운영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자연 재난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는 없지만, 주요 침수취약지역 등 예측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대응 역량을 200% 발휘해달라"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0//AKR20170510096500004_01_i.jpg)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