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언론 "대북 온건파 文대통령 vs 강경 트럼프 충돌 우려"(종합)

입력 2017-05-10 20:33  

美언론 "대북 온건파 文대통령 vs 강경 트럼프 충돌 우려"(종합)

文 '북한과 대화'·트럼프 '대북 압박 강화' 정반대 북핵 접근법 비교

WP "한국이 살아있는 민주주의 보여줘…아시아서 불안정한 미국에는 도전"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미국 언론은 10일 취임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접근법에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주요 언론매체들은 특히 북한과의 대화를 통한 해법을 모색하는 문 대통령과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북 정책을 놓고 충돌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과 문 대통령의 충돌이 예상되는 상황"이라며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길과 정면으로 모순되는 제2의 '햇볕정책' 접근을 암시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은 대북 압박 극대화지만, 이와 반대로 문 대통령의 전략은 긴장 완화와 경제통합을 기대하며 북한에 먼저 손을 내미는 것이라고 NYT는 설명했다.

NYT는 문 대통령이 대선 기간 대북 제재의 유일한 목표는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는 것이라고 한 점을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제재를 통해 북한에 모든 핵무기를 포기하게 하려는 다른 목표가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NYT는 "문 대통령 당선으로 한국과 중국이 이제 기본적으로 북한을 어떻게 다룰지를 놓고 같은 쪽에 있다"며 "동아시아를 혼란에 빠뜨릴 적대 행위를 초래할 상황을 피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일을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문 대통령의 대선 승리가 핵무기 억제를 위해 북한에 더 큰 경제·외교 압박을 가하려던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을 조기에 시험대에 오르게 한다"고 보도했다.

WSJ는 "문 대통령은 북한 고립 정책에 반대하고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의 회담을 모색하겠다고 했다"며 "이는 북한에 대한 경제·외교·군사 제재를 강화하고 합당한 조건에서만 대화를 모색하는 전략이 포함된 트럼프 대통령의 선호 방식과 충돌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또 WSJ는 "한국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비용 10억 달러를 요구한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대한 문 대통령의 비판으로 두 정상의 관계가 더 복잡해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한국 새 지도자가 트럼프와 김정은이라는 큰 도전에 직면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선호하고 지나친 대미 의존을 조심하는 문 대통령의 대선 승리는 북한과 김정은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처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던진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사설에서 한미 정상의 대비되는 대북 접근법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의 상승세를 한국 젊은 민주주의의 승리로 설명할 수 있지만, 이미 아시아에서 불안정한 미국의 위치가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WP는 '끔찍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재협상하거나 종료하고 사드 배치 비용 10억 달러를 한국이 내야 한다고 한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미국에 '노'(No)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한 문 대통령을 유리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 노선을 고집하면 그의 대북 계획, 주요 동맹국과 미국의 양자 관계를 모두 빠르게 파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WP는 '민주주의를 어떻게 하는지 한국이 세계에 보여줬다'는 한국 대선 분석 기사에서 "서방에서 자유 민주주의를 위기에 빠뜨리고 갉아먹는 국가주의가 부상하는 절망적 시기에 한국은 민중의 힘이 여전히 살아있음을 일깨워주는 반가운 소식을 막 전해줬다"고 평가했다.

WP는 지난 7개월간 이어진 한국의 대통령 탄핵 국면을 소개하면서 "변화에 굶주린 유권자가 반부패 공약을 내세운 전직 인권변호사인 문 대통령을 띄웠다"고 전했다.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