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4천520만명 추정…올해보다 6.4% 늘어난 규모
유권자 고령화로 제25대 대선엔 60대 이상이 50% 돌파 전망
선거연령 18세로 낮추면 고령화 속도 다소 늦춰질 듯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15년 뒤인 2032년 대통령 선거 때 유권자 수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로 유권자도 나이가 들면서 2032년에는 유권자 10명 중 4명이 60대 이상이 되고 그로부터 15년 뒤에는 전체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60대 이상이 될 것으로 점쳐졌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별다른 개헌 없이 앞으로 5년마다 대선이 치러질 경우 선거권을 지닌 만 19세 이상 인구는 2032년 제22대 대선 때 4천519만8천147명으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9일 치러진 제19대 대선 때 유권자 4천247만9천710명보다 6.4%(271만8천437명) 늘어난 규모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차기 대선인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 인구는 4천397만4천799명, 2027년 4천474만1천3명에서 2032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저출산, 고령화 여파로 전체 인구가 2031년(5천295만8천명)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로 접어들며 대선 유권자도 감소한다.
제23대 대선 때인 2037년에는 만 19세 이상 인구가 4천516만4천171명으로, 5년 전보다 0.08%(3만3천976명) 줄어들고 2042년 4천471만8천844명, 2047년 4천390만3천366명으로 감소한다.
2062년이 되면 만 19세 이상 인구는 3천894만6천46명으로 4천만명 미만으로 떨어진다.
대선 유권자가 가장 마지막으로 4천만명을 밑돈 적은 2007년 17대 대선(3천767만1천149명)이었다.
유권자 구성도 고령화된다.
올해 대선에선 60세 이상이 전체 유권자의 2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40대(20.6%), 50대(19.9%), 30대(17.6%), 19∼29세(17.5%) 순이었다.
그러나 유권자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2032년에는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 19세 이상 인구의 40.3%로 올해보다 15.9%포인트 확대되는 반면 다른 연령대 비중은 일제히 쪼그라든다.
60대 이상 다음으로는 50대가 17.9%로 그 뒤를 잇고 40대(15.2%), 30대(15.1%), 19∼29세(11.5%) 순으로 나타나는 등 나이가 많을수록 비중이 커지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나타난다.
60대 이상 인구 비중은 계속해서 늘어나 제25대 대선 때인 2047년에는 50%(50.3%)를 돌파하고 제28대 대선이 있는 해인 2062년에는 55.6%까지 확대된다.
반면 19∼29세 젊은 인구는 2062년 9.9%로 10%를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진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보수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보수 후보가 득세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셈이다.
물론 변수는 있다.
문재인 신임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 연령을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경우에도 유권자 정점은 2032년으로 변함없지만 유권자가 될 수 있는 만 18세 이상 인구는 4천562만8천960명까지 늘어나게 된다.
이후 2037년 제23대 대선 때부터 만 18세 이상 인구는 내리막길을 걸어 2062년 제28대 대선 때 3천925만1천657명까지 떨어진다.
젊은 인구가 소폭 늘어나며 유권자 고령화 속도는 현행 제도를 유지했을 때보다 다소 늦춰진다.
2032년 정점 때는 만 18세 이상 인구 중 60대 이상이 가장 많지만 그 비중은 39.9%로 만 19세 이상을 유권자로 했을 때보다 0.4%포인트 떨어진다.
그다음은 50대 17.7%, 40대 15.1%, 30대 14.9%, 18∼29세 12.3%로 순서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30∼50대 비중은 소폭 줄어드는 반면 29세 미만 비중은 0.8%포인트 늘어난다.
60대 이상 인구 비중은 제26대 대선인 2052년에는 51.4%까지 늘어난 뒤 2062년 제28대 대선 때는 55.2%까지 확대된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