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국립공원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야생동물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야생동물의 국립공원 생태통로 이용횟수가 늘었다고 14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2//AKR20170512155000004_03_i.jpg)
이들 생태통로 12곳은 지리산 3곳, 오대산 2곳, 속리산 2곳, 설악산·소백산·월악산·덕유산·계룡산 각 1곳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생태통로에 무인 센서카메라과 족적판(모래판) 등을 설치하고 야생동물을 관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2//AKR20170512155000004_02_i.jpg)
그 결과 2012년 생태통로 8곳(지리산 3곳·오대산 1곳·설악산 1곳·소백산 1곳·월악산 1곳·덕유산 1곳)의 야생동물 28종 이용빈도는 1곳당 평균 163회였다. 총 이용 횟수는 1천307회였다.
2016년에는 37종의 야생동물 이용빈도가 1곳당 505회(12곳 총 6천61회)로 늘었다. 2012년에 비해 약 3.1배 증가했다.
2012∼2016년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동물은 총 60종이었다. 반달가슴곰·수달·고라니 등 포유류 20종, 조류 31종, 양서류 5종, 파충류 4종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2//AKR20170512155000004_01_i.jpg)
포유류가 1만 5천2회로 96.4%의 비중을 차지했다. 포유류 중 고라니의 이용 횟수가 5천247건으로 가장 많았다.
조류는 541회(3.5%), 양서·파충류는 25회(0.1%)였다.
생태통로를 이용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는 반달가슴곰·수달·산양·매가 있다. Ⅱ급으로는 하늘다람쥐·삵·담비 등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생태통로에 동물들이 염분을 섭취할 수 있는 미네랄 블록과 다람쥐 등 소형동물이 이용할 수 있는 간이통로 등을 각각 설치해놓았다.
큰 규모의 생태통로는 아니지만 도로를 횡단하는 뱀·족제비 등 작은 동물들이 안전하게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옹벽 탈출 시설을 월악산·오대산 등 도로변에 만들었다.
도로옹벽 탈출 시설은 도로를 건너는 동물이 높은 옹벽에 막혀 탈출하지 못해 로드킬 당하지 않도록 막아 준다.
배수로 횡단·탈출 시설 등도 설치해 야생동물들이 인공구조물로 단절된 지역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