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해수부는 2020년부터 선박 배출가스에 대한 국제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LNG(액화천연가스) 선박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2025년까지 주요 항만에 LNG 급유(벙커링) 기반시설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고 14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고자 선박연료의 황산화물 함유기준을 2020년부터 기존 3.5%에서 0.5%로 낮추기로 작년 10월 결정했다. 이에 따라 청정연료인 LNG 선박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항 중인 LNG 선박은 1척이지만 관공선을 중심으로 LNG 선박 도입이 논의 중이고, 민간 기업의 시범사업도 추진되고 있다.
해수부는 한국가스공사[036460]에서 운영하는 인천·평택·통영항의 LNG공급기지를 활용해 초기 LNG 연료 수요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연간 약 8만 척의 외항선이 입출항하는 부산항과 울산항에는 장기적으로 LNG 선박 연료공급을 위한 시설 조성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4//AKR20170514016000003_01_i.jpg)
해수부는 쉽고 안전하게 LNG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보고 '주요 항만 LNG 벙커링 인프라 구축용역'을 발주했다. 사업자로는 청운대 산학협력단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해수부는 연구용역을 통해 내년 4월 말까지 국내 항만의 입지, 필요시설 규모 등을 조사해 2025년까지 주요 항만에 LNG 연료공급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내놓는다.
특히 2015년 1월 민간사업자가 부산항 LNG벙커링기지 구축 사업의향서를 정부에 제출했지만 입지 문제를 둘러싼 논란 때문에 지금까지 진전을 보지 못하는 사안에 대해서도 이번 연구용역에 포함해서 살펴본다.
민간사업자는 부산신항 입구에 있는 무인도인 해남도 일대에 벙커링기지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항만공사 등 부산지역 항만업계는 다른 선박의 통행에 지장을 주고 사고 우려가 있다며 반대하고, 위치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해운·조선·항만 등 LNG 선박과 연관된 다양한 산업을 육성하고자 관련 산업 현황 및 여건 분석, 해외 주요사례 조사와 분석도 진행한다.
해수부는 중장기 로드맵이 나오면 소규모 LNG 선박연료 공급시설부터 단계적으로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박준권 해수부 항만국장은 "LNG 선박 보급 확대에 대비해 이번 연구용역 및 중장기 로드맵 수립 작업을 차질 없이 추진, 우리 항만에 LNG 연료공급 기반시설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