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 세끼 혼밥비율 25%…"나트륨 과잉 섭취"
(서울=연합뉴스) 한미희 기자 = 한국인 10명 중 1명은 하루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인 가구의 절반은 하루 세끼가 '혼밥'이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6/04/01/01//C0A8CA3C00000153CFAC32780001FD7C_P2.jpeg)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최하고 대한의사협회가 주관한 '식품안전의 날(5월14일) 주간 혼밥 심포지엄'에서 이행신 의협 국민건강보호위원회 위원이 발표한 '우리 사회의 혼밥 현황'에 따르면 하루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 국민의 비율은 9%로 조사됐다.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조사의 원자료를 통해 2만여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다.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 비율은 남성(7.1%)보다 여성(10.8%)이 더 많았다.
1인 가구로 좁히면 세끼를 혼자 먹는 비율이 52.3%에 달했다. 1인 가구 중에서도 여성의 61.9%가 세끼 모두 혼자 먹는다고 답해 남성(40.2%)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령대로 보면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25%)이 세끼를 혼자 먹었고, 여성 노인의 경우 그 비율이 32.7%로 평균치를 상회했다.
혼자 사는 노인의 혼밥 비율은 더욱 높다. 1인 노인 가구의 76.5%가 세끼를 모두 혼자 먹는다고 답했다.
1인 가구에서 소득 수준이 '하'인 경우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66.1%에 달했고, 65세 이상에서도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1/13//PYH2017011317770006400_P2.jpg)
이런 식사 행태는 건강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끼 모두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의 비만 유병률은 34.7%로, 세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사람(24.9%), 세끼 중 한 번 이상 혼자 식사하는 사람(29.3%)보다 높았다.
나트륨을 하루 2천㎎을 초과 섭취하는 비율도 혼자 세끼를 먹는 사람이 34.3%로 가장 높았다. 세끼 모두 함께 식사하는 사람은 24.3%, 세끼 중 1번 이상 혼자 식사하는 사람은 21.8%였다.
에너지 섭취 수준이 권장량의 75% 미만으로 영양섭취가 부족한 비율도 대체로 혼자 식사하는 사람이 높았지만, 특히 12∼18세(38.8%), 65세 이상(13.6%)에서 두드러졌다.
19∼29세 청년층에서는 에너지와 지방을 과잉 섭취하는 사람의 비율(7.6%)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수현 소비자시민모임 실장은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이 간편함과 가격을 고려해 주로 선택하는 편의점 도시락이나 라면, 패스트푸드 아침 메뉴, 가정 간편식이 대부분 나트륨 함량이 하루 권고량의 70∼90%를 차지하고, 지방 비율이 특히 높거나 열량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1/01/01//C0A8CA3C000001595A7C992B0007FC00_P2.jpeg)
mih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