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8//AKR20170518054000053_01_i.jpg)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는 지난해 11월부터 6개월 동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을 휩쓸었으나 청정지역을 지켜냈다.
이 기간 경북 도내 농장에서는 AI가 단 한 건도 나오지 않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전국 AI 발생지역에 이동제한을 모두 해제됐다.
경북도는 AI 발생 초기에 정부 지침보다 한발 빠른 행정조치와 강력한 차단방역으로 내륙에서 유일하게 청정지역을 유지했다.
지난해 12월 7일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시·도 가금류를 경북에 반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산란계 5만 마리 이상 키우는 농가 93곳에 전담공무원을 배치해 집중적으로 예찰했다.
SNS로 시·군과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해 변화하는 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했다.
한때 김천, 구미, 경산에서 폐사한 야생조류와 배설물에서 AI가 검출돼 긴장하기도 했으나 이동초소를 설치하고 소독·예찰을 강화해 AI 유입을 막았다.
또 방역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규모 농가 가금류를 예방 차원에서 미리 도살 처분했다.
축산농가와 도민 협조도 청정지역 유지에 큰 도움이 됐다.
농장에 외부인 출입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농장 입구에 택배함을 설치했고 연말연시 행사 등을 모두 취소했다.
AI 발생에 대비해 도살처분에 동원할 농·축협 직원과 민간인, 장비를 사전에 확보하고 군과 협조체계를 구축했다.
도는 앞으로도 AI 방역대책본부를 계속 운영해 방역활동을 하고 최첨단 거점소독시설을 기존 2개 시·군에서 9개 시·군으로 확대 설치한다.
나머지 14개 시·군에도 최첨단 거점소독시설을 확대해 가축전염병 상시방역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해 11월부터 발생한 AI로 전국에서 사육 닭 35%를 도살 처분했고 피해액도 1조2천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경북은 AI 청정지역 사수로 예방적 도살처분 보상금과 가금류 반입금지로 피해를 본 농가에 지원한 특별생계비 등 30억 정도 비용만 들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발 빠르고 강력한 차단방역 조치 경험을 앞으로도 방역대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har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