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민수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간암 줄기세포 분화과정을 컴퓨터로 예측할 수 있는 '가상 세포시스템'을 개발했다.
윤승규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간암 줄기세포의 대사체(metabolome)·전사체(transcriptome)의 발병 기전을 가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18일 밝혔다.
간암 줄기세포의 유전자와 단백질을 컴퓨터 상에서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해 바이오 마커(생체지표)로 알려진 'CD133'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그동안 이같은 바이오 마커를 분석하려면 고가의 장비와 전문 인력이 필요했는데 해당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컴퓨터로 손쉽게 최적의 반응조건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승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간암 가상 세포시스템을 이용하면 항암제·치료제의 대사 경로와 약물의 작용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반복 실험과정을 단축해 간암과 관련한 새로운 바이오 마커 및 표적 치료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발표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8//AKR20170518067400017_02_i.jpg)
k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