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츠담 구동독 정치폭력 희생자 추념관서 강연, 토의
(포츠담=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진실은 침몰하지 않습니다. 당시 발포 명령자가 반드시 밝혀지길 바랍니다."
1980년 광주 5·18 민주화운동 때 전남매일신문 기자로서 '현실'을 전하는 사진을 찍고, 이후 2011년 그 흑백필름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한 나경택 전 연합뉴스 광주전남취재본부장이 독일 포츠담을 찾았다.
한국시각으로는 이미 기념일로 넘어간 17일 저녁(현지시간) 이곳에서 그는 구동독 정치범(공산독재에 맞선 정치적 반대파) 수용소가 정치적 폭력에 의한 희생자 추념관으로 탈바꿈한 시설을 찾아가 재독 교포와 독일인 등 약 40명을 만났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8//AKR20170518143900082_01_i.jpg)
재독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 등이 마련한 이 행사에서 그들에게 자신의 사진 작품을 하나하나 소개하며 설명하고 질문에도 답했다.
무엇보다 행사 장소가 뜻깊어 달려왔다면서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고 진실은 또한 거짓을 이길 수 없다고 했다.
그러곤 새 정부가 발포 명령자를 밝혀내겠다는 공약을 이행하리라 기대했다.
당시 계엄군의 집단발포 시점은 21일 오후 1시였다.
발포 전 계엄군 틈에 있었다는 그는 "○대위가 통신병에게 '발포명령 어떻게 됐어'라고 묻는 걸 들었고, 10분 뒤 '발포명령입니다' 하는 말이 나온 것도 들었다"고 했다. "민간인으론 처음 '발포명령'에 대해 들었던 것"이라고 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18//AKR20170518143900082_02_i.jpg)
그는 "언젠가는 진실이 밝혀질 것으로 보고 사진을 찍었다"고 회고하고 "지금껏 광주의 진실이 많이 밝혀졌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발포 명령자 확인"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독일 추모·책임·미래재단(EVZ)의 우타 게를란트 이사회 고문, 한스 부흐너 국제엠네스티 한국협력관, 5·18 참상을 독일 등 전세계에 알린 독일 언론인 고(故) 위르겐 힌츠페터의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도 참석했다. 공영 ARD-NDR TV의 영상담당 특파원이던 힌츠페터는 작년 1월 별세했다.
이 가운데 나치 희생자 추모와 지원을 위한 EVZ의 게를란트 고문과 부흐너 협력관은 나 전 본부장, 한정화 코리아협의회 대표와 간략한 토론회에도 함께했고, 특히 게를란트 고문은 이 자리에서 '연대'를 강조했다.
un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