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회 학술대회…구교태 교수 "연합뉴스, 중심적 역할 해야"
(서울·제주=연합뉴스) 김인철 박용주 기자 = 가짜뉴스의 확산과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언론사별로 이뤄지는 팩트체크를 통합·공유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구교태 계명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19일 제주국제대학교에서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열린 '2017 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가짜뉴스 현상 진단과 대응방안 모색'이라는 발제를 통해 이 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구 교수에 따르면 지난 19대 대선 투표일 전 8일간 7개 언론사의 팩트체크 기사 21건을 분석한 결과, 보도 주제는 공식적 토론 관련 발언이 대다수였고, 가짜뉴스의 주요 채널로 의심받는 소셜미디어 내용에 대한 검증은 없었다.
또 21개 기사 중 팩트체크 대상을 직접 취재해 보도한 경우는 3건에 불과했고, 검증을 위한 정보원에 대해서는 익명으로 처리하거나 후보자의 기존 입장만 근거로 제시했다.
특히 확인할 내용이 모호한 사례를 팩트체크 하는 등 대상 선택기준이나 결과의 신뢰성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우도 많았다. 팩트체크 된 주제 가운데 언론사별로 차별적인 내용은 거의 없었다.
구 교수는 "언론이 신뢰를 잃을 때 미디어 이용자들은 진실을 찾아 새로운 정보원을 탐색할 수밖에 없다"며 "가짜뉴스는 저널리즘 본연의 기능과 역할이 회복될 때 감소 혹은 지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뉴스 폭증의 시대에서 어떠한 정보 출처가 옳고 그른가에 대한 지표 설정도 정보 이용자가 방향성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미디어 이용자의 정보처리 능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구 교수는 특히 "언론사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팩트체크를 통합하고 공유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며 "언론사 간 연계가 가장 활발한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인 연합뉴스를 중심으로 팩트체크 시스템을 갖추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팩트체크 된 정보가 시민들에게 신속히 전달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시켜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속보성이 강하고 뉴스 신뢰도가 높은 연합뉴스는 합리적 대안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봉섭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격차해소팀장은 '가짜뉴스 현상에 대한 제도적·기술적·윤리적 대응방안 탐색'이라는 발제문에서 "가짜뉴스 대응방안으로 생산자 형사적 처벌, 기술적 차단 등이 논의되지만, 이용자의 대응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또 "윤리적 측면에서 뉴스 생산자의 강화된 사실 확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예를 들어 연합뉴스와 같은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의 경우 기사 바이라인에 기사 작성자 외에 팩트 체커를 병기해 뉴스의 사실성을 강조하고, 사실 확인 결과를 위키 방식으로 기록·전달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토론자로 나선 정은령 SNU 팩트체크 센터장은 "여러 언론사가 같은 사안에 대해 팩트체크를 했을 때 다른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면서 "팩트체크 결과가 같아야 한다는 데 대해 좀 더 열려 있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주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원은 "팩트체크가 가짜뉴스를 판별하는 기준이기는 하지만 완전한 답이 될 수는 없다"면서 "학계와 언론이 협업해 이 문제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aupfe@yna.co.kr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