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관리 "中, 北국경단속 강화·기업에도 조치"

입력 2017-05-26 16:44   수정 2017-05-26 17:24

美국무부 관리 "中, 北국경단속 강화·기업에도 조치"

손턴 동아태 차관보 대행 "추가 제재, 北소비재 무역 겨냥 가능"

(베이징 AP=연합뉴스) 중국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속에서 북한에 대한 국경단속을 강화했다는 점을 미국 측에 강조했다고 미 국무부의 수전 손턴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대행이 26일 밝혔다.





손턴 차관보 대행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들(중국)은 국경 지대에서 검문검색과 세관 검사를 강화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손턴 대행은 또 "중국이 (북한과 거래하는) 기업들을 상대로도 많은 다른 조치를 했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기업을 상대로 한 조치가 무엇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는 미국은 그동안 중국을 상대로 북한 연계 기업들을 제재해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며, 중국이 어떤 조치를 할지 지켜보자고 덧붙였다.

이런 조치들은 북한의 핵폭탄과 미사일 시험을 막는데 중국의 긴급한 압박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국이 점점 알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행위들이라고 그는 해석했다.

이어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이제 중국의 요구인 미국과 북한 간 직접대화가 이뤄지기 전에 더 많은 대북 압박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들이고, 북한의 계산법을 바꾸려고 노력하기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을 그들(중국)이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추가 핵 실험이나 미사일 발사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 강화 얘기도 나왔다.

손턴 대행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잠정 대북 제재안을 미국과 중국, 다른 나라들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을 응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줄이려는 차원에서다.

손턴 대행은 직물 등 소비재 무역을 겨냥해 경제 제재의 강도를 높이는 사항을 추가 대북 제재에 포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개입 정책을 펴고, 영유권 분쟁지인 남중국해에서 해군 작전을 계속할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미 해군은 24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처음으로 남중국해에서 '항행의 자유' 작전을 수행했다.

미 해군 구축함 듀이함은 이날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南沙>군도, 베트남명 쯔엉사 군도) 내에 있는 인공섬 미스치프 암초(중국명 메이지자오<美濟礁>) 12해리(약 22.2㎞) 이내 해역에서 항해해 중국의 반발을 불렀다.

kong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