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세계에 알린 테일러의 집 '딜쿠샤', 문화재 된다

입력 2017-05-29 09:39  

3·1운동 세계에 알린 테일러의 집 '딜쿠샤', 문화재 된다

경기도청사 구관도 문화재 등록 예고…진산 성지성당 등은 문화재 등록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3·1 운동과 제암리 사건 등을 전 세계에 알린 앨버트 테일러(1875∼1948) 미국 AP통신 특파원이 종로구 행촌동에 세운 '딜쿠샤'가 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테일러가 1923년에 지어 1942년 일제의 협박으로 추방될 때까지 약 20년간 거주한 건물인 딜쿠샤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29일 밝혔다.

힌디어로 '이상향', '희망의 궁전'을 뜻하는 딜쿠샤는 붉은 벽돌로 지은 연면적 624㎡의 지하 1층, 지상 2층짜리 서양식 저택이다.

딜쿠샤는 테일러 사후 한동안 비어 있었으나, 한국전쟁 휴전 이후 피난민들이 모여 살기 시작했다. 1960년대 국유화된 뒤에도 지난해까지도 10여 가구가 거주했으나, 지금은 무단 점유 문제가 거의 해결된 상태다.

앞서 문화재청은 2016년 2월 기획재정부, 서울시, 종로구와 함께 딜쿠샤를 원형대로 복원하고 2019년 전면 개방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은 '경기도청사 구관', '경기도지사 구 관사',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경기도청사 구관과 경기도지사 구 관사는 1963년 경기도청을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전하면서 지었던 건물이다.

경기도청사 구관은 1세대 현대 건축가인 김희춘과 나상진이 함께 설계했으며, 건물 안에 뜰이 있는 구조가 특징이다. 모더니즘 디자인이 반영됐다는 평가를 받으며, 지금도 행정업무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경기도지사 구 관사는 설계자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김희춘과 나상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김 골룸바와 아녜스 자매(석고상)'는 가톨릭 조각의 선구자인 김세중의 1950년대 대표작으로, 1839년 기해박해 당시 순교한 김효임(골룸바)·김효주(아녜스)의 모습을 담았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4월 문화재 등록을 예고했던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과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등 5건을 문화재로 등록했다.


천주교 진산 성지성당은 한국 최초의 순교자로 시복(諡福)된 윤지충과 권상연이 1791년 위폐와 신주를 태웠던 충남 금산군 진산면에 1927년 세워진 작은 성당이다. 첨탑이 있지만, 한국식 건축 양식이 가미돼 독특한 느낌을 준다.

구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은 1933년 건립돼 일제강점기 충주 지역에서 수탈의 거점 역할을 했던 곳으로, 앞서 등록문화재가 된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제164호)보다 더 많은 부속 공간이 남아 있다.

이외에도 1892년 만들어진 불화인 '고령 관음사 칠성도', 영국 작가 존 버니언의 기독교 소설을 외국 선교사들이 함께 번역해 1895년 펴낸 '천로역정(목판본과 신활자본)', 방신영(1890∼1977)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교수가 1917년 저술한 요리책 '조선요리제법'이 문화재로 등록됐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