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광화문포럼 주최 시민대토론회…광화문광장 차로 축소
산업지원차량 통행권은 보장…생활도로 보호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경복궁 앞 월대를 복원하고 율곡로는 지하로 넣어서 광화문광장과 경복궁을 연결한다.
광화문광장은 차로를 축소해 승용차 수요관리를 하되 대중교통 대책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31일 오후 광화문광장 시민 대토론회에서 이와같은 내용의 광화문광장 개선 원칙과 방향이 논의된다고 30일 밝혔다.
작년 9월 발족한 광화문포럼에서 전문가 56명이 정례포럼 9차례, 분과별 회의 11차례에 걸쳐 정리한 방안이라고 서울시는 말했다.
광화문포럼은 광화문광장을 국가권력공간과 역사 상징공간에 더해 시민중심 광장민주주의 상징공간으로 재설정해야 한다고 제시한다.
이를 위해 월대를 복원하고 해태상을 이전해 율곡로로 단절된 경복궁과 광화문광장을 연결한다.
광화문광장에서 경복궁∼백악∼북한산∼하늘로 연결되는 경관축을 보존하고 옛길과 도시구조를 보존하는 방향을 제안했다.
율곡로는 지하로 넣어서 기능을 유지하고 사회적 동의 하에 11차로에 달하는 광화문광장 차로를 축소, 승용차 수요관리를 하는 안을 내놓는다.
한양도성 내 대중교통 서비스 강화와 물류차량 등 산업지원차량 통행권 보장, 주변지역 생활권 보호를 위한 생활도로 보호 대책 수립을 하도록 한다.
'비움'을 원칙으로 해서 광화문광장이 교통섬이 아니라 보행광장이 되도록 확대한다. 옛 물길과 광장 이면부 포함 일대가 긴밀히 연결되도록 한다.
서울시는 앞으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 등과 관련해 청와대와 긴밀히 협의하고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5월 위촉된 광화문광장 시민참여단 워크숍 결과도 발표된다.
박원순 시장이 축사를 하며 광화문포럼 위원장인 김원 건축환경연구소 광장 대표와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 포럼 위원인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 함인선 BHW건축 대표, 김영찬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손수호 인덕대 도시환경디자인과 교수 등이 참석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광화문포럼 제안을 부문별로 면밀하게 검토한 뒤 연말까지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내년에는 광장 재구조화를 위한 설계를 하겠다"며 "중앙정부와 협업해서 사업을 추진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시민합의과정을 계속 마련, 광장 미래를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5/30//AKR20170530061200004_01_i.jpg)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