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 '아비라테론', 전립선암 생존율 37% 높인다"

입력 2017-06-03 20:30  

"치료제 '아비라테론', 전립선암 생존율 37% 높인다"

美임상종양학회 발표, "전통적인 호르몬 치료보다 효과"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전립선암 치료제 아비라테론(abiraterone)을 호르몬 치료 초기단계부터 병행해 투약할 경우 생존율이 37%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암연구협회(Cancer Research UK)가 3일 밝혔다.

이 내용은 이날 미국 시카고에서 진행중인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됐으며 의학계 권위지인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 연구는 영국 암연구협회가 연구자금을 대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의학연구위원회(MRC) 임상시험기구가 조정기관 역할을 맡은 전립선암 연구 프로젝트 '스탬피드'(STAMPEDE)의 일부다. 참여 환자가 약 1천900명에 이르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전립선암 임상시험 중 하나였다.

연구진은 환자들을 나눠 절반에는 호르몬 치료와 아비라테론 요법을 병행하고 대조군인 나머지 절반에는 통상적인 호르몬 치료만 했다.

그 결과 병행치료를 받은 960명 중 4년 반 이내 사망자는 184명에 그쳐, 957명 중 262명이 숨진 대조군보다 치료 효과가 확연히 높았다.

또 병행치료를 받은 그룹에서는 대조군 대비 70%에 이르는 질병악화 저지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의 큰 변화, 림프절 등 다른 기관에 대한 전이, 전립선암에 따른 사망 등이 없는 경우를 따진 것이다.

스탬피드 임상시험 연구책임자인 버밍엄대 니콜라스 제임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전립선암 임상시험에서 본 가장 강력한 결과"라며 "아비라테론은 전이를 겪은 암환자 일부에 이미 쓰이고 있지만 우리 연구 결과는 더 많은 이들이 혜택을 볼 수 있음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전립선암 종양은 대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있어야 커지기 때문에 표준적인 전립선암 호르몬 치료는 남성호르몬의 작용을 차단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아비라테론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전립선암 종양세포의 성장을 촉발하는 남성호르몬 생산 자체를 막는다. 아비라테론은 다국적 제약사 얀센이 '자이티가'(Zytiga)라는 제품명의 알약으로 만들어 2011년 미국 식품의약청(FDA) 허가를 받았다.

solatid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