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당 홈런 1.23개 역대 최고…올해 전체 홈런 6천개 육박할 수도
![](https://img.yonhapnews.co.kr/photo/ap/2017/04/26//PAP20170426087301034_P2.jpg)
(서울=연합뉴스) 장현구 기자 =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도 올해 홈런이 한창 화제다.
7일(한국시간) USA 투데이, 최근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언론을 보면, MLB에서 홈런이 그야말로 '역대급'으로 터지고 있다.
경기당 홈런이 1.23개꼴로 나와 선수들의 스테로이드 복용 탓에 '암흑의 시대'로 불리는 2000년(경기당 평균 홈런 1.17개)보다 홈런 수가 더 많다.
6일 현재 메이저리그 30개 구단이 친 올해 안타는 모두 합쳐 1만4천554개. 이 중 14.3%인 2천92개가 홈런이다.
전체 안타에서 홈런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역대 최고라고 워싱턴포스트는 분석했다.
만연한 '약물의 시대'(1994∼2005년)에도 전체 안타에서 홈런의 비율은 11.8%에 불과했다.
1994년 한해 홈런 20개 이상을 친 선수가 32명에 불과했다면 1999∼2000년 100명을 넘긴 뒤 지난해엔 111명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MLB 전체에서 터진 홈런은 5천610개로 2000년(5천693개)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다.
지금 추세라면 올 시즌 후엔 역대 가장 많은 5천980개의 홈런이 나올 것이라는 추산도 나온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07//AKR20170607079700007_01_i.jpg)
MLB 사무국이 '스탯캐스트'를 제공한 2015년 이래 홈런 증가의 이유가 비교적 명백해졌다는 게 현지 언론의 분석이다.
타구 '발사 각도'와 '타구 속도'의 상관관계를 추적했더니 퍼 올려 치는 '어퍼컷 스윙'(어퍼 스윙)이 홈런 등 장타 증가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타자의 땅볼 타구를 봉쇄하고자 각 팀이 극단적으로 내야 수비진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몰아세우는 '수비 시프트'를 앞다퉈 펼치자 이를 확률적으로 깨려는 연구가 이어졌고, 그 결과 어퍼 스윙이 답이 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땅볼 대신 공을 띄우면 시프트를 깰 수 있고 게다가 강력한 직선타성 타구를 날리면 홈런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추론이 입증된 것이다.
극단적으로 공을 퍼 올려 볼을 높게만 치는 어퍼 스윙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약간만 퍼 올리는 스윙으로 미세하게 발사 각도를 높여 방망이의 스위트 스폿에 맞혀야 타구가 멀리 뻗어 간다.
2015년 스탯캐스트에 제공된 MLB 타자들의 평균 발사 각도는 10도였으나 지난해 10.8도로, 올해에는 10.9도로 올라갔다.
발사 각도를 높여야 장타가 나온다는 사실을 각 구단이 파악한 결과 대유행 조짐으로 나타났다.
발사 각도를 12.1도(2015년)→16.9도(2016년)에 이어 올해 17도로 올린 워싱턴 내셔널스의 대니얼 머피는 장타율은 물론 타율, 출루율의 급증을 경험했다.
그의 장타율은 0.449(2015년)에서 0.595(2016년)로 올라갔다. 올해에도 0.562로 좋다.
스탯캐스트 상에서 발사 각도 26∼30도, 타구 속도 시속 158㎞이라는 조건이 앙상블을 이룰 때 홈런이 가장 많이 터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KBO리그에서 독보적인 팀 홈런(99개) 1위를 달리는 SK 와이번스의 트레이 힐만 감독도 라인업을 짤 때 발사 각도와 타구 속도 자료를 애용한다.
cany99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