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일본 정부가 고래잡이(포경)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에도 불구하고 북서태평양에서의 '조사 포경' 포획 고래 수를 크게 늘리기로 했다.
7일 NHK에 따르면 일본 수산청은 향후 12년 동안 북서태평양에서 조사 목적 포경의 포획 고래 수를 매년 밍크고래 170마리, 보리고래 134마리 등 304마리로 정했다. 이는 작년의 217마리보다 40%나 늘어난 것이다.
일본 정부는 산리쿠(三陸) 지역 앞바다 등 일본 연안 해역을 포함한 북서태평양에서 '과학적 조사'라는 명목을 내세워 고래를 대량 잡고 있어 국제사회와 갈등하고 있다.
이번 결정은 일본이 지난 2014년 국제사법재판소(ICJ)의 남극해 고래잡이 중단 판결 이후 포경에 소극적이던 것에서 방향을 급선회한 것이다. 판결이 나온 뒤 일본은 남극해뿐 아니라 태평양에서의 포획 고래 수도 줄였다.
ICJ는 당시 일본이 남극해에서 행하는 고래잡이가 과학적 조사 목적이 아니라며 포경허가를 내주는 것을 중단할 것을 명령한 바 있다.
상업적인 포경은 지난 1986년 국제 포경위원회(IWC)에 의해 금지됐다. 하지만 일본이 조사를 명목으로 내걸고 사실상의 상업 포경을 하자 호주가 금지를 요청하는 소송을 제기했고 ICJ가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포획 고래 수 증가 방침에 대해 일본 수산청은 "지금까지는 고래가 무엇을 먹는지 등 생태계를 밝히기 위해 조사를 했지만, 앞으로는 연령, 번식 실태를 파악할 것"이라며 "조사 내용 확대를 위해 과학적인 계산을 통해 포획 고래 수를 늘리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NHK는 일본 정부의 포획 고래 수 증가 방침으로 일본의 조사 포경에 대한 국제적인 반발이 더 강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4/04/18//PYH2014041804780007300_P2.jpg)
b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