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성 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 새정부 4차산업 정책 조언 역
"인공지능·빅데이터 육성에 치중하는 것은 잘못된 대응"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려면 '기본역량'이 탄탄해야 합니다."
새 정부 4차산업 정책 논의의 조언자로 참여하고 있는 정우성 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는 14일 "기본역량은 기초연구, 인재 육성,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포함한다"며 "지금처럼 인공지능·빅데이터 육성 등을 4차 산업혁명 대응으로 치부한다면, 이는 잘못된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국정기획위원회가 지난 9일 연 4차 산업혁명 세미나에서 대표 발제를 맡은데 이어 13일 추진전략 전문가 간담회에 참여해 목소리를 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은 시대적 흐름이나 기조이지 특정 기술이나 제품군, 시장 등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4차 산업혁명을 좁게 해석해 단편적인 기술과 산업 분야에 치중한다면, 국가의 지속성장을 추진할 동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을 보다 큰 관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 혁명이 담고 있는 현상인 '혁신의 가속화'와 '예측 불가능한 미래'다.
여기 대비하려면 '기본기'가 탄탄해야 하는데, 정 교수는 이 중 하나를 기초연구로 꼽았다.
이는 이 날 오전 김진표 국정위원장이 강조한 '기초원천연구와 기술 축적'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는 인재 육성,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의 '역량 강화'가 본질적인 대비라고 말했다. '제조업혁신'·'기술창업' 등이 전방에서 싸우는 부대라면, 역량 강화는 후방을 맡는 부대라며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정 교수는 "현재 과학기술의 역할은 연구개발(R&D)과 지식의 진보, 인력양성 등을 모두 포함한다"라며 "이런 과학기술을 '과학기술답게' 하기 위한 혁신 체계와 연구현장의 역할 등을 앞으로 하나씩 정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 지원에 대해서도 "몇 개의 기술·제품군을 지정하고 이에 대한 R&D 지원·규제 완화를 하는데만 그쳐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