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임청 기자 = 인권전담 센터 설치와 인권보호 제도 보완 등을 골자로 한 전주시의 인권도시 구축 청사진이 모습을 드러냈다.
전주시는 16일 시청 회의실에서 전주시 인권위원회 위원과 인권 관련 단체, 공무원 등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시 인권보장 및 증진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관한 최종보고회 및 공청회를 했다.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6개월 전 이 연구용역에 착수했었다.
인권 기본계획은 전주시민의 권리가 보장되는 인권친화형 전주를 만들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로드맵을 담고 있다.
전주시 인권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오는 2021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수립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16//AKR20170616113800055_01_i.jpg)
시는 인권증진 기반구축과 인권 친화적 도시환경 조성, 사회적 약자와 시민 인권증진, 인권보편화를 위한 인권가치 실현 등 4개 목표를 핵심으로 담았다.
대표적으로 전주시청 내에 인권센터를 설치하고 인권옴부즈맨 도입과 장애 인권 전문 상담원 배치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인권영향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인권위원회 활동도 강화한다.
교통약자인 장애인의 보행환경을 위해 교통편을 개선하고 아동, 청소년, 여성, 노인, 장애인, 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맞춤형 사업을 확대한다.
전주시 기획조정국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인권이 추상적 담론에 그치지 않고 현실성을 가지고 실행될 수 있도록 전주형 인권행정의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겠다"면서 "취약계층 등 시민들의 인권보장이 강화된 인권행정을 추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c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