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책 후퇴 우려"vs 도 "관·과, 같은 개념"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박정헌 기자 = 경남도가 여성가족정책관(官)을 과(課)로 개편하려 하자 시민단체가 여성 정책후퇴라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19//AKR20170619130851052_02_i.jpg)
도는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각종 현안 사업을 해결하기 위한 조직개편안을 마련, 지난달 15일 입법예고했다.
조직개편안에는 기존 13국 55과 249담당을 13국 57과 254담당으로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정 대상에는 여성가족정책관이 포함됐다.
개편안에는 행정부지사 소속이던 여성가족정책관을 복지여성보건국 여성가족정책과로 전환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안을 두고 시민단체는 도의 여성 관련 정책후퇴를 우려하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경남여성연합 등 도내 27개 시민단체는 19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류순현 도지사 권한대행이 일방통행식으로도 행정조직 체계를 개편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도지사 권한대행이 제시한 조직개편안에는 새 정부의 성 평등정책 추진계획은 없었다"며 "여성정책관 위상을 일개 과 단위로 전락시켜 경남의 성 평등정책 수준을 퇴행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 여성 정책부서 위상을 축소하면서 이룩해야 할 행정조직개편의 속내는 과연 무엇인가"라며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성 평등을 위한 경남의 새로운 도정 계획과 경남 성 평등 추진체계를 위한 밑그림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앞서 도 조직개편안을 철회시켜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다.
도는 "여성가족정책관을 복지여성보건국 여성가족정책과로 개편하는 것은 여성 정책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해명에 나섰다.
도는 또 "관(官)과 과(課)는 4급 과장이 관리하는 같은 개념"이라며 "이번 조직개편안을 통해 여성일자리 담당을 신설하면서 여성가족정책과 인원을 오히려 1명 늘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성가족정책관은 기존에 전 부서를 관할하는 행정부지사 소속이어서 깊이 있는 정책 검토에 한계가 있었지만, 여성가족정책과로 개편하면 국장 선에서 각종 정책을 세심하게 살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여성가족정책과로 우선 운영해본 뒤 불합리한 사항이 있다면 내년 민선도지사 취임 이후 여성 관련 조직을 재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도 조직개편안은 오는 29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처리 여부가 결정된다.
k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