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이매진] 그때 그 시절,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입력 2017-07-09 08:01  

[연합이매진] 그때 그 시절,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

(인천=연합뉴스) 이창호 기자 = “성당 2층 창 너머로 보이는/ 황토빛 저 흙더미 속엔/ 내가 살던 집이 묻혀있다./ 내 아이의 어줍잖은 그림도/ 깨진 항아리도/ 낡아서 버린 구두도…/ 슈퍼, 약국, 목욕탕, 연탄집/ 모두 저 황토 속으로 사라졌다./ 사람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민희네 정우네 창수네 선진이네…/ 저녁 어스름 해 기울고/ 황토는 말없이/ 세월을 삼킨다.”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의 상설전시실 한쪽에 걸려 있는 허선화의 시 ‘수도국산 달동네.1’에서는 고달프고 힘들었지만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들이 있었기에 웃으며 살 수 있었던 달동네에 대한 아련한 추억과 향수가 배어난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어두워/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기형도(1960∼1989)의 시 ‘엄마 걱정’을 읽다 보면 아무도 없는 빈집에서 오직 어머니를 기다리는 소년의 삶이 눈물겹다. 그 시절, 우리는 어쩌면 모두 그토록 가난했던가.

달동네란 이름은 마을이 높은 산자락에 위치해 달이 잘 보인다는 의미와 ‘월세방이 많다’는 이유에서 붙여졌다. 달동네가 처음 형성된 것은 일제강점기다. 일제의 수탈을 피해 산언덕에 삶을 이룬 ‘토막민촌’이 시초다. 이후 한국전쟁과 산업화 과정에서 ‘판자촌 달동네’가 급격히 늘어났고, 도시 빈민들의 삶의 터전이 되었다. 달동네라는 용어가 널리 쓰인 것은 1980년 당시 시청률 67%를 기록했던 TV 일일연속극 ‘달동네’ 방영 이후다.

달동네박물관이 있는 수도국산(水道局山)은 소나무가 많아서 송림산(松林山), 만수산(萬壽山)이라고 불리던 야트막한 산꼭대기로 인천 변두리 달동네였다. 인천의 근대화 과정을 기록한‘인천석금’(仁川昔今)에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인 갑진년(1904) 왜병이 전환국(현 전동) 자리 근처에 주둔하였는데, 이때 이곳 주민들을 강제로 철거시켜서 송현동 산언덕에 새로 주거를 정해 주었다고 한다”고 기록돼 있다.

개항 이후 일본인들에게 쫓겨난 사람들이 모여 살았고, 1908년 이곳에 송현배수지가 준공되자 그때부터 수도국산이라 불리기 시작했다. 이어 한국전쟁으로 고향을 잃은 피란민들이 몰려들었고, 급격한 산업화로 일자리를 찾아 나선 사람들도 달동네 주민으로 합류했다. 산꼭대기까지 판잣집이 들어차면서 수도국산은 3천여 가구가 모여 사는 달동네가 됐다. 지금은 달동네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그 자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서현석 박물관 팀장은 “인천 동구청은 2005년에 사람들 기억 속에서 잊혀가던 달동네 옛터에 근현대생활사 박물관을 세웠다”며 “달동네박물관은 노장년층에게 정겨운 시절 추억 속으로의 시간 여행을, 어린이와 젊은층에는 허리띠를 졸라매고 열심히 살았던 기성세대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말한다.






◇ 1960년대 이후 달동네 모습 그대로


지하철 1호선 동인천역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는 수도국산 달동네박물관은 가파른 골목길을 따라 다닥다닥 붙어 있는 판잣집, 공중화장실과 공동수도, 연탄가게와 솜틀집, 복잡하게 엉킨 전깃줄과 전신주에 붙어 있는 반공 표어 등 1960∼70년대의 수도국산 달동네를 그대로 재현해놓았다. 달동네박물관은 제1전시실, 제2전시실로 나뉘는데, 매표소는 제2전시실 입구에 있다.

관람순서는 딱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1970년대 동인천을 대표했던 가게들을 둘러볼 수 있는 제2전시실로 발길을 옮겼다. 1970∼80년대 촬영한 사진들이 비치된 ‘우리사진관’, 1960년대부터 인천의 명소였던 ‘미담다방’, 인천 토박이라면 대개 들어본 바 있는 송림양장점과 창영문구 등을 만날 수 있다.

우리사진관에서는 옛 교복을 입어볼 수 있고, 뮤직박스가 달린 미담다방에서는 소파에 앉아 담소를 나누며 옛 추억을 떠올릴 수 있다. 2004년 작고한 은율솜틀집의 3대 주인인 박길주 씨로부터 기증받은 솜틀기를 비롯해 철제등잔, 석유풍로, 빙수기, 아이스크림통 등 전시 물품은 어린이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한다.






◇ 옛 향수 자극하는 연탄가게와 솜틀집



제2전시실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면 제1전시실이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김중미의 ‘괭이부리말 아이들’, 나연숙의 ‘달동네’ 드라마대본 등을 볼 수 있는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달동네’ 코너가 반긴다. 달동네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터치스크린도 발걸음을 붙잡는다. 이어진 ‘수도국산 역사’ 코너는 철창(방범철망), 수도국산 철거민들의 투쟁 제2호 유인물 외에 문패, 도민증, 반장신분증, 연탄구매권, 인천 향토사 고전인 ‘인천석금’ 등 당시 시대상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들을 전시하고 있다.

물자가 부족하던 시절의 연탄은 구매권을 배급받아야 살 수 있었는데 1966년 10월 아랍산유국의 단유(斷油)로 연탄이 부족하다는 소문이 돌면서 품귀현상이 빚어져 한 장에 10원 하던 연탄값이 17원까지 폭등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철거 반대 시멘트 벽면에 쓰여 있는 “나에게 수도국산 달동네는 부끄럽거나 슬프거나 아픈 곳이 아니었어요. 지금의 나를 살게 하는 힘이죠”라는 글이 눈에 들어온다.

1971년 11월 어느 날 인천의 수도국산을 재현한 ‘달동네 생활상 엿보기’ 코너도 흥미롭다. 수도국산 달동네는 여느 달동네와 마찬가지로 마을 어귀에 상가들이 모여 있었다. 달동네 입구로 들어서면 생을 마감할 때까지 송현동 주변의 폐지를 주워 어려운 이웃을 도왔던 폐지수집가 맹태성 씨와 뻥튀기 아저씨, 달동네가 없어질 때까지 한 장에 4㎏인 연탄 25장을 등에 지고 배달한 유완선 씨의 연탄가게, ‘농림부의 71년산 보리쌀은 가마당(76.5㎏) 4,813원으로 사드립니다’라는 공고안내문이 붙어 있는 은율솜틀집, 해태 빠다카라멜ㆍ쫀드기ㆍ럭키치약ㆍ승리양초 등이 진열된 구멍가게, 달동네 당시 간판과 똑같은 박정양 씨의 대지이발관이 나타난다.







◇ 가난하지만 마음만은 넉넉한 풍경



가게들을 지나면 한 통에 얼마씩 받고 물을 팔았던 공동수도(물파는 집)와 악취가 나는 듯한 푸세식 공동화장실이 나온다. 어두컴컴하고 좁은 골목의 담벼락과 전봇대에는 ‘양담배 연기 속에 사라지는 육십 환’ ‘넘쳐나는 왜(倭) 노래에 흐려지는 민족정신’ ‘혼식으로 부강하고 분식으로 건강 찾자’ ‘숨겨주는 인정보다 신고하여 같이 살자’ ‘루우프 피임법을 아십니까’ ‘일시에 쥐를 잡자 쥐약 놓는 날 12월 13일 오후 5시’ 등 당시의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포스터와 표어가 닥지닥지 붙어 있다.

좁다란 골목길에는 달동네 철거 당시 뜯어오거나 주민에게 기증받은 문짝과 유리창, 굴뚝, 창살, TV안테나 등을 그대로 옮겨놓은 달동네 가옥이 영화 세트장처럼 모여 있다. 달동네의 가옥 구조는 지형에 따라 ‘一’자형, ‘ㄱ’자형, ‘ㄷ’자형을 기본으로 하는데, 대개 방 1, 2개에 부엌이 하나씩 있는 구조다.

골목길을 걷다 보면 반찬값이라도 보태기 위해 성냥갑을 받아다가 풀로 붙이는 아낙네들, 흑백 TV 앞에 모여 앉아 국민의 영웅이었던 김일의 박치기에 열광하는 가족, 공화당 달력이 걸려 있는 작은 방, 벽에 큰 천을 걸어 옷장을 대신한 단칸방, 흑백 가족사진이 걸려 있는 마루, 장독대 빨랫줄에 걸린 조기 등 하루 벌어 하루 살던 사람들이 많았던 달동네 생활상을 느낄 수 있다.

제1전시실은 20분에 한 번씩 낮에서 밤으로 바뀌는데, 이때 가로등이 켜지면서 개 짖는 소리ㆍ다듬이질 소리ㆍ통행금지를 알리는 딱딱이 소리가 들린다. 타임머신을 타고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간 듯하다. 달동네를 한 바퀴 돌아 나오니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모여 공부하던 야학당과 만홧가게, 기념품 판매소가 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7월 중순부터 ‘생활 속의 우리 꽃’을 주제로 기획전이 열릴 예정이다. 달동네박물관 옆의 달동네 놀이체험관에서는 뻥튀기, 연탄 나르기, 달고나 만들기, 딱지치기, 공기놀이 등을 체험할 수 있다. 특히‘거꾸로 가는 시간표’를 통해서는 수도국산의 역사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관람정보]

- 관람시간: 오전 9시∼오후 6시(매표마감 오후 5시 30분)

-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 입장료: 어른 1천원, 청소년ㆍ군경 700원, 어린이 500원, 단체관람객(20인 이상) 50% 할인

- 문의:☎ 032-770-6130



※ 연합뉴스가 발행하는 월간 '연합이매진' 7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chang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