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21일 "개방형 직위제도의 목적을 무시하고 공무원 출신 인사를 반복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은 이 제도를 내실 있게 운영하라"고 촉구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1//AKR20170621126700064_02_i.jpg)
충북참여연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 "충북도와 청주시, 진천군이 개방형 직위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전체 12개 자리 중 절반인 6개 자리에 공무원 출신 인사가 임용됐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충북참여연대는 따르면 충북도는 10개의 개방형 직위 중 충북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부장·서울사무소장만 민간인 출신 인사가 임용되고, 여성정책관·보건환경연구원장·감사관·서울세종본부장에는 공무원 출신 인사가 임용됐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보건복지국장·관광항공과장·정보통신과장은 실제 개방형 대신 내부 인사로 맡고 있다.
청주시는 감사관, 진천군은 혁신도시보건지소장을 개방형 직위로 지정했는데 모두 공무원 출신 인사가 임용됐다.
충북참여연대는 "개방형 직위는 임용 대상을 민간으로 확대해 해당 직위의 전문성과 혁신성을 확대하는데 취지인데 절반 이상을 공무원으로 채운 것은 본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충북참여연대는 또 "지정 후 미운영 중인 충북도의 개방형 직위는 내부 공무원의 반발과 잡음을 우려해 미리 포기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감사관 직위를 공모 중인 충북도가 또다시 무늬만 개방형제를 고수할지, 아니면 행정혁신의 단초를 마련할지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jeon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