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교수팀, 미토콘드리아 파괴시켜 암세포 사멸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새로운 암 치료법이 개발됐다. 암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미토콘드리아를 망가뜨려 암세포를 자살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유자형 자연과학부 화학과 교수팀이 곽상규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 이은지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합성 펩타이드 자기조립을 통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새로운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40800057_01_i.jpg)
기존 암 치료는 수술을 통해 암 조직을 제거한 뒤 화학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화학 약물을 계속 투여하다 보면 내성이 생길 수 있다. 암세포에 내성이 생기면 더는 화학 약물로 암을 억제하기 어렵다.
공동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분자의 자기조립(self-assembly)'을 이용해 암세포를 없애는 새 치료법을 개발했다.
암세포 내부에서 스스로 뭉친 분자들이 암세포를 파괴하도록 만드는 방식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40800057_02_i.jpg)
연구팀은 먼저 세포 소기관 중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삼고, 이를 파괴할 자기조립 물질을 합성했다.
세포 내 에너지 공장으로 알려진 미토콘드리아를 망가뜨리면 암세포도 사멸할 것이라고 본 것이다.
이를 위해 합성한 물질은 트리페닐포스포늄(triphenylphosphonium)을 연결한 펩타이드인데, 트리페닐포스포늄 펩타이드는 세포 밖에서 자기조립하지 못하고 분자로 존재한다.
하지만 이 분자가 미토콘드리아 안으로 들어가 쌓이면 그 농도가 수천 배 높아진다. 이때 분자들끼리 끌어당기는 힘이 생기면서 자기조립해 나노섬유 구조를 만든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6/22//AKR20170622040800057_03_i.jpg)
분자 하나가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끼치는 영향은 적지만, 분자 수백 또는 수천 개가 모여 만든 나노섬유 구조의 영향력은 매우 커서 미토콘드리아 막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던 단백질들이 세포질로 나오면서 암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방법은 화학 약물치료와는 완전히 다른 메커니즘으로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어 약물 내성을 이겨낼 수 있다"며 "난치성 암 치료법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young@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7/06/22//GYH20170622001100044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