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임청 기자 = 심사 공정성 문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 전주대사습놀이의 청중평가제 도입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이뤄졌다.
23일 전주 한벽문화관에서 열린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대토론회에서는 국악인의 등용문인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의 명성과 권위를 새롭게 고취하기 위한 각계 전문가들의 열띤 토론이 있었다.
특히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청중평가단' 도입 여부를 놓고 일부 전문가의 의견제시와 반박이 이어져 주목받았다.
손태도 판소리학회 부회장은 "경연대회와 관련해 언제나 수반되는 문제는 심사의 공정성"이라고 들고 "심사위원들의 공정성이 문제가 될 때는 청중심사제 도입을 생각하게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중들이 심사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사실상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면서 "이는 경연자들이 사람들을 동원할 수 있고 전주에서 활동하는 경연자가 언제나 유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며 반대 입장을 보였다.

그는 심사위원들에 의한 현행 방식을 유지하되 청중들에게도 공식적인 심사 결과와 상관없이 1~3등을 투표케 한 후 이를 발표함으로써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유도할 방안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이에 반해 이희병 동국대학교 겸임교수는 청중평가제 도입에 찬성입장을 내비쳤다.
이 교수는 심사위원 선정 과정의 제도적 보완을 전제로 청중들에게도 심사권을 부여해 심사에 반영하는 청중평가제 도입을 제안했다.
그는 "매년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를 치르다 보면 본선 경연장에는 대부분 경연에 참여하는 국악인들만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청중심사단 200~300명이 참여함으로써 본선장에서의 관객 흥행도 함께 이룰 수 있어 일석이조,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날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의 발전방향'을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선 최동현 군산대 교수는 "경연대회가 주가 되어서는 안 되며 축제 속에 경연대회가 자리하는 것으로 현행 운영방식을 크게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는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각종 제안과 논의를 심도 있게 검토해 9월로 예정된 대사습놀이 대회에 반영한 계획이다.
전주대사습놀이는 지난해 불거진 '심사비리' 문제에다 이사진들 간의 갈등으로 법정 다툼을 벌이는 등 파행을 겪었다. 이 때문에 매년 5월에 치러지던 대회가 올해는 9월로 잠정 연기된 상태다.
lc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