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독립유공자 직계가족에 대한 정부의 실태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흥사단은 지난 2일 국가보훈처에 독립유공자 후손들에 대한 정보공개를 청구한 결과 "훈격 포상자인 1만4천651명의 직계비속 전체 수, 거주지, 연령대, 최종학력, 경제수준 등 유가족에 대한 자료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보훈처는 다만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배우자나 유족 중 1인) 등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지원하는 7천509명의 평균연령, 거주지, 보훈 급여금 등의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생존해 있는 59명의 독립유공자를 포함한 선순위 유족의 평균연령은 76세로 수도권에 약 50%(3천768명)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의 76%에 달하는 5천703명이 월평균 121만8347원의 보훈 급여금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흥사단은 "지원 여부와 상관없이 독립운동가의 가족이 누구인지, 현재 어디서 어떠한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는 것은 국가 기본적 책무"라고 강조했다.
kihun@yna.co.kr
(끝)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5/12//PYH2017051213520001300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