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피질하 영역 지나친 활성화로 느껴지는 강한 불쾌감 줄이려는 동작"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자폐증의 특징적 증상 중 하나는 다른 사람과 눈을 맞추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대인관계 관심(interpersonal interest)의 결여 때문으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이는 뇌 특정 부위의 과도한 활성화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생의학 영상센터(Center for Biomedical Imaging)실장 노우친 하드지카니 박사는 자폐 환자가 눈 맞춤을 기피하는 이유는 뇌의 피질하 시스템(subcortical system)에서 감정의 감지를 담당하는 부위의 과잉 활성화로 불쾌한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30일 보도했다.
성인과 아동 자폐 환자 23명과 자폐증이 없는 20명을 대상으로 얼굴 전체 영상 또는 눈 부분만 집중적으로 보여주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관찰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하드지카니 박사는 말했다.
얼굴 전체 영상을 보여주었을 땐 자폐 환자나 정상인 모두 피질하 영역의 활성도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눈 부분만 집중적으로 보여주었을 땐 자폐 환자들만 이 영역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국, 자폐환자가 눈 맞춤을 피하는 것은 피질하 영역의 지나친 활성화로 인해 느껴지는 강한 불쾌감을 줄이기 위한 동작이라고 하드지카니 박사는 설명했다.
자폐 환자 스스로도 다른 사람의 눈을 볼 땐 "역겨운"(yucky) 느낌이 든다거나 "눈이 쓰리고 눈물이 난다"는 식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뇌의 속 부분인 피질하 시스템은 뇌의 겉 부분인 피질에서 오는 정보를 말초 감각과 결합시켜 신체의 움직임과 행동을 유발하는 곳이다.
이 부위는 특히 눈 맞춤을 통해 활성화된다. 신생아는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의 얼굴에 이끌리게 되고 그 얼굴에 나타난 감정을 감지하게 된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