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공공부문 임금인상 1% 상한 폐지 공방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재정적자를 축소하지 않으면 국가부도에 몰렸던 그리스처럼 될 것이라며 재정긴축 기조 방침을 밝혔다.
영국 여야는 지난달 조기총선을 전후해 보수당 정부의 공공부문 임금인상 상한선 폐지를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메이 총리는 5일(현지시간) 하원에서 열린 '총리와의 질의응답' 시간에 공공 의료서비스인 국민보건서비스(NHS) 간호사들과 교사들을 위한 예산 증액을 요구하는 제러미 코빈 노동당 대표의 질의에 "우리가 재정적자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때 생기는 일을 상기시키고 싶다. 이론적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재정적자를 해결하지 않은 그리스에서 우리는 무엇을 봤는가? 헬스케어 지출이 36%나 삭감됐다"고 강조했다.
메이는 앞서 비슷한 질문에서도 "(보수당 정권교체가 이뤄진) 2010년보다 병원에 간호사들이 더 많고 학교에는 교사들이 더 많다. 하지만 우리가 공공부문 임금인상 상한을 포함해 공공지출 억제를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시켜주고 싶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는 평화로운 시기에 사상 최대의 재정적자를 물려받았기 때문"이라며 과거 노동당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메이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대신 우리의 자녀들과 후손들에게 빚을 안겨주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보수당 정부는 공공부문 임금을 2011~2012년 2년간 동결한 데 이어 인상 상한을 1%로 묶고 있다.
하지만 보수당 내각에서도 과반의석 상실이라는 조기 총선 결과를 이유로 공공부문 임금인상 상한을 폐지해야 한다는 야권의 요구에 동참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잇단 테러와 런던 아파트 화재 참사를 계기로 경찰과 소방관, 병원 응급서비스 등 공공부문 인력에 대한 처우 개선의 요구는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럼에도 메이 총리는 아직 공공부문 임금인상 상한선을 포함해 기존의 긴축 기조를 고수하고 있다.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가 이끈 전임 보수당 정부는 지난 2010년 정권교체에 성공한 이래 당시 국내총생산(GDP) 대비 11.4%인 재정적자를 축소하기 위한 고강도긴축을 지속했다.
캐머런 정부는 2015년까지 이 비율을 4%로 끌어내리는 성공했고 2015년 총선 승리로 정권을 연장하고서는 2020년에 재정 흑자로 돌려놓겠다는 목표를 유지했다.
하지만 메이 총리는 이번 조기 총선을 앞두고 재정적자 해소 목표 시기를 2020년대 중반으로 미뤘다. 지난해 재정적자는 GDP 대비 2.6%를 기록했다.
jungw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