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시 5개년 연구…잠정결과 "장소·시기·사람따라 달라"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에서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등 사이클링을 즐기는 것이 건강에 좋을까 나쁠까?
컬럼비아대학 메일맨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다비 잭 교수는 2년 전부터 주 중에는 매일 학교까지 약 24km 거리를 자전거로 통근한다.
자전거와 몸엔 초미세먼지(PM2.5)나 혈압, 심박동, 호흡량 등을 측정하는 센서들이 달린 장치가 달려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잭 교수를 비롯한 전문가팀은 뉴욕시의 의뢰를 받아 대기오염 물질을 마시며 도시에서 자전거 타기와 건강의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라디오 방송을 통해 모집한 실험 자원자는 잭 교수를 포함해 40명이다. 연구팀은 자원자를 150명 더 늘리고 더 다양한 실험을 할 예정이다.
연구팀의 자료는 추후 분석 과정을 거쳐 더 건강한 시간대·코스·방식을 택해 자전거를 타는 방법이나 관련 지도나 앱 등을 개발하는 데 활용된다.
뉴욕시는 10여 년 전부터 자전거도로 확충 등 자전거 친화적 정책을 적극 펴고 있으나 아직 대기오염이 아닌 안전사고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5/07/PYH2017050706050001300_P2.jpg)
5개년 연구 중 2년이 지난 현재까지 조사된 잠정결과에 따르면, 자전가 출 퇴근자 중 많은 경우가 하루 대기오염 물질 흡입량의 절반 이상을 하루 시간의 6~8%에 불과한 출퇴근 시간에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도는 출퇴근 러시아워 때 가장 높고 시간대별로 다르다. 자동차 주행도로에선 인도 쪽 분리된 자전거도로에서보다 오염물질을 더 마시게 된다. 상습 정체지역, 고갯길, 고속도로 교차로 등 오염도가 높은 특정 지역도 파악됐다.
앉아있을 때보다 걸을 땐 호흡량이 2~3배로 늘고 자전거나 조깅 등 운동할 때는 훨씬 더 많아진다. 공동연구자인 컬럼비아대학 지구화학과 스티븐 차일러드 교수는 쉴 때 약 8ℓ인 공기 흡입량은 자전거 탈 때 70ℓ라고 설명한다. 그만큼 대기오염 물질 흡입량도 늘어나게 된다.
대기오염 영향은 사람 따라 편차가 크다. 천식, 심혈관질환, 당뇨 환자와 어린이, 노인 등은 더 취약하다. 여성은 남성보다 폐가 작아 더 영향받는다.
전문가들은 운동이 건강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지만 대기오염 때문에 좋은 점이 약간 사라진다면서 그러나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해로움이 이로움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않는다고 밝힌다. 또 오염물질 흡입에 따른 체내 염증을 운동이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장단점을 계산하는 일은 복잡하다고 지적한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5/27/PYH2017052705880001300_P2.jpg)
임페리얼칼리지의 환경정책센터의 위험평가 전문가인 오드리 네이젤 박사는 인도 델리처럼 오염이 심한 곳에선 30분까지는 야외 운동을 하면 건강에 이득이 있으나 30분을 넘어가면 이득보다 해가 더 크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소개했다.
런던이나 바르셀로나처럼 뉴욕과 대기오염도가 비슷한 도시들에서 이뤄진 연구로는 교통사고 위험까지 포함해도 자전거 타기의 건강과 수명 개선 효과가 부정적 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그럼에도 대기오염을 고려해 적절한 시간대와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며 항산화 성분 등이 풍부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 것이 미세먼지 등에 대처하는 데 좋다고 네이젤 박사는 권고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oldyna/YH/2007/03/02/PYH2007030200850005200_P2.jpg)
choibg@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7/01/26/PEP20170126238401034_P2.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