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인구 꼴찌' 지자체 영양군…연간 사망자가 출생아 3배 넘어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0/AKR20170710141200053_01_i.jpg)
(영양=연합뉴스) 이강일 기자 = "낮에는 경로당도 조용할 정도로 사람이 없습니다. 아기 울음소리가 우리 동네에서 난 적이 언제인지 기억도 없어요. 항상 조용한 곳입니다."
경북 영양군 입암면 신구리에 사는 김한경(77) 할아버지는 자신이 사는 마을을 이렇게 소개했다.
영양군노인회 입암면 분회 총무를 맡은 김 할아버지는 손자들이 도시에서 태어날 때 직접 그곳에 가서 들은 울음소리를 제외한 다른 아기 울음소리를 들은 기억이 없다.
입암면에 사는 대부분 어르신이 비슷하다고 한다. 아주 가끔 한국으로 시집온 몇몇 다문화 여성이 출산한 아기와 함께 외출하는 모습은 본 적이 있다.
노인들은 그나마 다문화 여성 출산을 다행으로 여긴다.
입암면 분회 산하 27개 경로당에 출입하는 어르신은 대개 70대 후반 이상이며 90대도 있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어르신은 대부분 오전에 농사일하고 오후 4시를 전후해 모여 대화를 나누며 시간을 보낸다.
◇ 70대 초반이면 '젊은이' 취급…청년회장이 50, 60대
60대부터 70대 초반이 경로당에 오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70대 후반이 넘는 노인보다는 노동력이 좋아 오후 늦게까지도 밭일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비교적 젊은 탓에 경로당에 가면 훨씬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이 '젊은이' 취급하며 허드렛일 처리 등 잔심부름을 시킬 때가 많아 출입 자체를 꺼린다는 얘기다.
김 할아버지는 "90대도 있고 80대 이상이 70%를 차지하는 경로당이 대부분인데 이런 곳에 아들뻘인 60∼70대가 들어와 같이 어울리기는 힘들어 오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군내 영양읍과 5개면(입암·청기·일월·수비·석보면) 중 입암면은 도로 사정이 좋고 면 단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인데도 상황이 이 정도다.
일월면, 수비면 등 일월산 주변 교통이 불편한 곳에서는 상황이 훨씬 더 심각하다.
수비면 도계리 오수창(76) 할아버지는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 경로당에 모이는 노인도 찾아보기 힘들다. 상황이 더 심각해지기 전에 대책이 나왔으면 한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0/AKR20170710141200053_02_i.jpg)
노인 인구는 계속해 늘어나는데 젊은층 유입이 없어 영양은 심각한 '인구절벽'사태에 놓여 있다.
마을 단위로 운영하는 청년회 회장은 50대나 60대 초반이 맡는다. 농사일할 사람이 없어 80대까지도 논밭에 간다. 따라서 '숨 쉴 힘만 있으면 일해야 한다'는 한숨 섞인 말이 나온다.
이달 10일 오후 안동에서 영양을 잇는 국도를 따라 있는 주변 논밭에서 일하는 사람 가운데 60대 이하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고령화에다가 인건비 상승 때문이다. 작업 효율이 높은 60대 이하 젊은층은 일당을 더 많이 주는 곳으로 떠났다.
인구가 적다 보니 교통량도 적다. 군내에 점멸식이 아닌 교통신호등이 있는 곳은 입암면 청암 교차로 등 3곳뿐이다. 인구가 가장 많은 영양읍에 있는 신호등도 모두 점멸등이다.
젊은이가 없는 탓에 제조업체는 가내수공업이나 시설투자를 약속한 식품 가공업체 몇 곳뿐이다. 영양군이 군내 산업구조를 분석한 결과 1차 산업이 77.2%를 차지했으며, 2차 산업은 4%에 그쳤다.
농업 비중은 높은데 인건비가 갈수록 올라 어려움을 더한다.
영양군은 일손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베트남 자매도시인 호아방과 협력해 경북에서는 처음으로 외국인 계절 근로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4월 22일 입국한 호아방 출신 근로자 29명은 일손이 부족한 11개 농가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은 다음 달 20일까지 머물며 채소 수확 등 농사일을 거든다.
◇ 작년 군내 출생신고는 73명…사망신고는 214명
영양군은 인접한 봉화군, 청송군과 함께 머리글자를 따 일명 '비와씨'(BYC)라고 하는 경북 대표 오지이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영양 인구는 1만7천713명이다. 인구 규모는 전국 243개 자치단체 가운데 242위이다. 섬으로 면적이 좁은 울릉군 특수성을 고려하면 사실상 꼴찌이다.
더구나 전체 인구의 33%가량인 5천800여명이 65세 이상 노인이어서 출생아 증가에 따른 인구 증가는 기대할 수 없다.
지난해 영양에서 출생 신고는 73명, 사망신고는 241명이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보다 3배 이상 많다. 사망자 수가 신생아 수를 넘어선 것은 오래된 일로 군민은 기억한다.
군에 병원 1곳과 치과 3곳이 있으나 산부인과는 없다. 임신부가 멀리 안동에까지 가서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것도 임신을 꺼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07/10/AKR20170710141200053_03_i.jpg)
영양군 면적은 815.25㎢로 서울시 605.21㎢보다 200여㎢가량 넓다. 서울 면적에 광역기초단체 구 5개 정도를 합친 것과 비슷한 곳에 1만7천여명만 살다 보니 영양읍을 조금만 벗어나면 사람을 보기는 어렵다.
군청 소재지인 영양읍 내에는 관공서, 학교 등이 있는 덕에 그나마 젊은 사람을 좀 볼 수 있다. 하지만 읍내를 조금만 벗어나면 논밭만 이어질 뿐 인적을 찾아볼 수 없다.
영양 인구는 1973년 7만여명이었으나 그 뒤 줄기 시작해 2006년 1만9천989명을 기록하며 2만명 아래로 떨어졌다.
2만명선이 무너진 뒤 영양군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신생아 양육비 지원 조례를 만드는 등 인구 늘리기에 나섰다.
군청 직원은 물론 친지까지 주소를 영양으로 옮기는 운동도 벌였다. 그러나 인구는 늘지 않아 대도시 1개 동보다 적은 수준에 머물렀다. 대구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대형 아파트단지 1곳 인구와 비슷하다.
영양수비우체국에 근무하는 권오순(50)씨는 "군이 인구 증가를 위해 출산장려금이나 양육비를 주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지만 별 효과가 없는 것 같다"며 "인구 감소에 근본 원인인 일자리를 충분히 만들고 문화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시골에도 젊은 사람이 몰려올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영양군 관계자는 "최근 행정자치부가 주관한 인구 감소지역 통합지원 공모사업 대상에 영양군이 뽑혔다"며 "국비와 군비 등을 들여 인구 증가를 위한 인구지킴이 민관공동체 대응센터를 만들어 부모와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육아를 책임지는 육아시설을 운영하는 등 인구 증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상주∼영덕 고속도로가 개통하는 등 도로망이 좋아지고 인구 유입을 동반하는 여러 국책사업에 뽑혀 인구 증가에 파란불이 켜졌다"며 "청정 영양이 알려져 귀농·귀촌 희망자 문의 전화가 하루 10건 이상"이라며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2025년까지 인구 2만명을 회복하겠다"고 덧붙였다.
lee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